[이춘광의 투자 시선] 소비심리 꺾인 미국…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이춘광의 투자 시선&' - 이춘광 레그넘투자자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24일 (월) [휴장] 일본(일왕탄생일)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년 경과일 [산업] 제로베이스원 미니 5집 컴백, 에스엠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 데뷔 - 미국 1월 시카고 연방 국가활동 지수 2월 댈러스 연준 서비스업 활동 2년물 국채 입찰 - 유럽 1월 CPI, 근원 CPI ▲25일 (화) -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 미국 2월 댈러스 연준 서비스업 활동 5년물 국채 입찰 - 일본 1월 PPI 서비스 국내 실적 : 하이브 ▲26일 (수) - 미국 1월 신규주택매매, 건축허가 - 일본 12월 동행지수, 선행지수 국내 실적 :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지역난방공사 미국 실적(현지시간) : 엔비디아, 도미노 피자 ▲27일 (목) - 미국 4분기 GDP, GDP 물가, 개인소비 1월 내구재 주문 - 유럽 2월 소비자기대지수 미국 실적 : 퍼스트 솔라, 이베이, 델 테크놀로지스 ▲28일 (금) [산업] D램 계약가격 발표, 낸드플래시 계약가격 발표, 카운터포인트 스마트폰 월간 판매량 - 미국 1월 PCE 물가, 근원 PCE 물가지수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수, 도매재고, 소매재고 2월 MNI 시카고 PMI - 일본 1월 소매판매, 주택착공건수, 광공업생산 2월 도쿄 CPI, 근원 CPI 미국 실적 : 세일즈포스, 휴렛 팩커드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금요일 뉴욕증시의 마감 상황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가 발표되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 흐름 보였는데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 소비심리 꺾인 미국…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미국 3대 지수 올해 들어 최대 낙폭 기록 - 다우 –1.69%·S&&P –1.71%·나스닥 –2.20% - &'월가 공포지수&' VIX 지수 18.21…16% 폭등 - M7 일제히 &'휘청&'…엔비디아·테슬라 4% 넘게 급락 - 테슬라, 美서 37만 6000대 리콜…파워스티어링 결함 - 미국, 이라크에 석유 수출 확대 압박…유가 급락세 - 유나이티드헬스케어그룹 7%대↓…법무부 조사 시작 - 미 국방부 예산 삭감 소식…팔란티어 5%대 약세 - 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검출…제약사 주가↑ - 미국 소비 간접 지표&' 월마트 수익 전망 기대 이하 - &'유통 왕좌 뒤집혀&'…아마존, &'12년 독주&' 월마트 추월 - 리비안 4분기 호실적 발표…주가 4.70% 뒷걸음질 - 2650선 지킨 코스피…코스닥 강보합 마감 ◇ 제조업과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 등 여러 경제 지표들이 나오면서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한 점이 시장을 가장 불안하게 했어요? - 미국에 드리우는 &'S공포&'…&'트럼프 허니문&' 끝? - 2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 64.7…예상치 하회 - 민주당 지지자의 소비 심리 악화…1월比 14p 급감 - 민주당 지지자의 2월 소비자기대지수 36.8 -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 4.3%…전월比 1.0%p↑ -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3.5%…전월比 0.3%p↑ - 인플레 불확실성↑…1년 불확실성 7.6%p→9.5%p - 인플레 우려 심화…5~10년 불확실성 6%p→8.2%p - 미국 서비스업 업황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위축 - 2월 미국 서비스업 PMI 예비치 49.7 - 2월 제조업 PMI 예비치 51.6…8개월래 최고치 - 미국 1월 기존 주택판매 전월비 4.9% 급감 - 1월 미국 기존 주택 판매 408만 채…4개월 만에 급락 - 미국 주택시장 &'침체 그림자&'…건설업 체감지수 뚝 ◇ 뉴욕증시 한 주간 업종별 수익률도 짚어보겠습니다. 지난주 어떤 업종이 가장 눈에 띄었나요? - 뉴욕증시, 한 주간 상승세 가장 높았던 업종은? - 연초 이후, 통신서비스·헬스케어·유틸리티 업종 강세 - 지난주, 필수소비·유틸리티·헬스케어 업종 강세 - 올해 해외 주식, 미국 주식 성과 앞설 전망 - 연초 이후 미국 주식시장 업종별 상승세 확산 ◇ FOMC 1월 의사록이 공개됐는데, 금리인하와 관련해서 신중한 입장들이 나왔었죠. 의사록 내용 디테일하게 짚어주신다면요? - 1워 FOMC 의사록 공개…연준·트럼프 보조 맞추나 - 1월 FOMC 회의 의사록 &'매파적&'…시장 예상한 수준 - 1월 FOMC 의사록 &'트럼프 관세, 인플레 압력 우려&' - 연준 위원들 &'디스인플레이션 증거 추가 확인해야&' - 1월 FOMC 의사록, 양적긴축 속도 조절 필요성 언급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장기국채 비용을 확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밝혔는데요. 또 지난주 중국 부총리와 처음으로 화상 통화를 하기도 했는데 관련 내용도 살펴봐주시죠? - 베센트 美재무, 장기물 국채 확대 &'시기상조&' - 美재무 &'연준과 QT 중단 또는 속도조절 협의&' - 美재무 &'보유한 금 평가절상 뜻 아냐…그대로 보관&' - 美 국채가, 베센트 재무 발언에 상승…달러 약세 - 美 베센트·우크라 종전 기대…환율 1430원대로 &'뚝&' - 美재무- 中부총리 첫 화상통화…어떤 내용 오갔나 - 美재무- 中부총리 화상통화…경제·통상 우려 표해 - 베센트·中허리펑 통화…마약대응·무역관계 논의 - 연은 총재 &'대차대조표로 인한 증시 불안 원치 않아&' - 中 허리펑 &'관세 부과 등 무역 제한 우려&' - 美 베센트 &'펜타닐 유입·경제 불균형 정책 우려&' - 미국 정부지출 현황 지난해 대비 증가 추세 ◇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관세 조치가 발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관세 부과를 예고한 품목도 품목인데 부과 시기도 점점 앞당겨지고 있어요? - 동맹국 옥죄는 트럼프…관세 폭탄 앞당기나 - 트럼프 &'車·반도체·의약품·목재 관세, 한 달내 발표&' - 연은 총재 &'관세 충격, 코로나 규모의 쇼크&' - &'환율까지 따지겠다&' 상호관세, 충격 더 커질까? - &'환율·세금·불공정 관행 모두 고려&'…차등 부과 - 韓, 지난해 11월 &'환율 관찰 대상국&' 재지정돼 - 환율 &'추경 편성 vs 금통위 결정&'에 따른 추이 주목 - 대미 무역흑자, 557억 달러…전년비 +25.3% - 대미 무역흑자, 2022년 이후 3년 연속 최대치 - 美수출, 車 300억·반도체 100억·의약품 15억 달러 ◇ 트럼프 대통령이 TSMC에 인텔 파운드리사업부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국내 반도체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실제 인수가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 트럼프 &'반도체 되찾겠다&'…파운드리 대격변 예고? - 위기의 인텔…TSMC 업고 부활할까? - TSMC &'트럼프 압박에 인텔 공장 인수 논의 중&' - 인텔 둘로 쪼개지나…외신 &'브로드컴·TSMC 인수 검토&' - 트럼프 &'인텔 인수&' 요구 불응시 TSMC &'반독점 조사&' - TSMC, 인텔 사업부 인수땐 美 현지생산 늘릴 수 있어 - 전문가들 &'생산시설 단순 인수하는 방안이 유력&' - 인텔 파운드리 인수 시 TSMC 독과점 논란에 빠져 - 점유율 10%도 안 되는 삼성…대형 고객사 확보 난항 - 트럼프 &'당장 미국에서 반도체 칩 생산해야&' - 트럼프, 반도체 관세 최대 100% 인상 방안 검토 - 관세 정책, 반도체 공장 미국으로 옮기기 위한 전략 - 美 반도체 법 재협상 예고…삼성·SK하닉 타격 우려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 등 많은 나라가 운영 중인 부가가치세를 문제 삼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부가세는 관세보다 더 가혹하다고 언급했는데요. 관세와 부가세를 같은 선상에 놓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 트럼프 &'부가세, 대미 관세로 간주&'…국내 영향은? - 트럼프 &'부가세, 대미관세와 동렬에 놓을 것&' - 부가가치세 제도 가진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시사 - 부가가치세 제도, 韓 포함 글로벌 170개국 이상 보유 - 韓, 부가가치세·비관세 장벽…상호관세 부과 가능성 - 국내 시장, 상호관세 우려 &'과도한 의미&'로 해석 - 美의 관세부과 국가, 최근 주식시장 상승 흐름 - 트럼프 &'거래의 기술&'…관세 압박 후 협상 전략 - EU &'부가세는 78년 된 내국세&' 트럼프에 반박 - &'한국에 불이익 가능성&' VS &'다른 나라가 진짜 타깃&' - 미국, 부가세 대신 판매세…평균세율 6.6% - 독일 19%, 영국·프랑스 20%, 스웨덴 25% 부가세 - 트럼프의 노림수, 자동차·반도체 산업 되찾기 ◇ 관세 폭탄이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 우려에 불을 지핀 상황에서 이번 주 한국은행이 금리 결정을 내립니다. 어떤 결과를 예상하십니까? - 내릴까 말까…2월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향방은? - 전문가 15명 중 12명 &'한은, 이번 달 기준금리 인하&' - &'금리인하&' 예측 전문가 절반은 &'만장일치&' 예상 - 올해 성장률 1.6% 전망…통화정책 경기부양 필요 - &'경기부양 절실, 환율 내려 1월에 못한 인하 가능&' - 한은, 경제 전망치 1.6~1.7%로 하향 조정 - 한은, 성장률 전망치 1.5%로 하향 가능성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