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성의 시장 훑기] 관세 우려 여전 …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김태성의 시장 훑기&' - 김태성 아이에셋 본부장 [이번 주 증시 이벤트] ▲3일 (월) 휴장 : 중국 [산업] 현대차·기아 1월 도매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미국 12월 건설지출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ISM 고용, 제조업, 구매물가 - 유럽 1월 HCOB 제조업 PMI CPI, 근원 CP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제조업 PMI 한국 실적 : LG화학,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 DX, 효성중공업, 효성티앤씨, SBS ▲4일 (화) 휴장 : 중국 [산업] 미국 1월 판매 데이터, 현대차·기아 1월 지역별 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금통위 의사록 공개 - 미국 12월 구인이직보고서 구인건수 제조업 수주, 내구재 주문 신규 상장 : 아이지넷, 피아이이 한국 실적 : 하나금융지주, LG생활건강, 카카오페이 미국 실적 : 머크, 에스티로더, 화이자, 암젠, 페이팔 ▲5일 (수) [산업] 2025 F/W 서울패션위크(~9) - 한국 1월 CPI, 근원 CPI - 미국 1월 ADP취업자 변동 S&&P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ISM 서비스, 고용, 신규주문 - 중국 1월 차이신 종합, 서비스업 PMI - 유럽 12월 PPI 1월 HCOB 서비스, 종합 PM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종합, 서비스 PMI 신규 상장 : LG CNS 한국 실적 : KB금융, 카카오뱅크, GS건설, KCC 미국 실적 : 포드, 월트 디즈니, 캐터필러, 팔란티어, 온 세미컨덕터, AMD ▲6일 (목) - BOE 통화정책회의 - 미국 1월 Challenger Job Cuts - 유럽 12월 소매판매 한국 실적 : 한화솔루션, SK이노베이션, KT&&G, LG유플러스 미국 실적 : 일라이 일리, 퀄컴 ▲7일 (금) - 미국 고용보고서 [산업] FAO 세계 식량가격지수,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 - 미국 12월 소비자신용지수 1월 비농업부문고용자수 변동,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12월 선행지수, 동행지수 한국 실적 : 우리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NAVER, 롯데케미칼, 한화시스템 미국 실적 : 우버, 폭스, 익스피디아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간밤 뉴욕증시의 마감 상황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어떻게 보셨어요? - &'관세 우려 여전&'…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하락…나스닥 1%대↓ - &'멕시코 관세 1개월 유예…국경 군대배치 합의&' - 트럼프 &'루비오·베센트·러트닉, 멕시코 관세 협상&' - 트럼프 &'멕시코 관세 25% 부과 한 달간 중단&' - 트럼프 &'캐나다 관세 30일 유예…초기 협상 만족&' - 팔란티어, 시간 외 10%대↑…&'4분기 깜짝 실적&' - 테슬라 5%↓…&'관세 전쟁 발발 우려 영향&' - 애플 3%↓…&'中 10% 추가 관세 예고에 직격탄&' ◇ 트럼프 관세 부과 조치, 모두가 알고 있고 예정된 일이었지만 막상 시행되니 시장 임팩트가 상당한 거 같습니다. 그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 트럼프발 관세전쟁…사전 예고에도 충격 큰 이유? - 48년 된 &'먼지 쌓인 법&' 꺼낸 트럼프…IEEPA란? - 美 캐나다·멕시코 25% 강행…中 추가 관세 10% - 트럼프, 캐나다산 원유만 예외…10% 관세 적용 - 中 이어 캐나다도…美 관세 WTO 제소 방침 - 미국산 주류 &'아웃&'…캐나다, 관세 보복 나서 - 분노한 캐나다 &'미국산 불매&'…&'휴가도 국내로&' - 트럼프 &'다음 대상 확실히 EU&'…관세전쟁 확전 - EU, &'트럼프 관세&' 현실화…&'부당관세, 단호 대응&' - 달러·원 환율, 14.5원 오른 1467.2원 마감 - 美 관세 총성에 환율 1460원대…이번 주 &'고비&' - 코스피, 결국 2450대로 &'뚝&'…외인 8700억 &'팔자&' ◇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국내 기업들의 상황도 복잡해졌습니다. 우선 멕시코와 캐나다에 진출한 한국의 수출 기업들에 대한 타격은 불가피해 보이는 상황이에요? - 멕시코·캐나다 진출 국내 산업 타격 불가피? - 기아·LG·동국제강 등 美 관세 대응책 마련 분주 - 韓, 美 8번째 무역적 자국…트럼프 관세 표적 우려 - 현대차 &'제네시스&' 트럼프 관세에 美 판매 비상 - 트럼프 관세에 국내 車업계 수출지 다양화 검토 - 국내 전체 수출에서 미국 비중 18.7% 차지 - 자동차, 전체 수출서 대미 수출 비중 50% 육박 - 보편관세 부과 시 전체 수출 35조 원 감소 전망도 - 정부, &'무역수지 균형&' 차 美 원유 수입 확대 검토 - 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현지 대응 강화&' ◇ 2차 전지 기업들의 경우 실적 부진에 트럼프 정부의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기, 캐나다 관세까지 &'겹악재&'를 맞았습니다. 2차 전지주 투자자들 이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걸까요? - 관세전쟁에 방전된 2차 전지주…대응 전략은? - LG엔솔·삼성 SDI 등 2차 전지 관련주 일제히 급락 - 2차 전지주 실적 부진·캐나다 관세까지 &'겹악재&' - 포스코퓨처엠, 작년 영업익 7억 원…&'비상경영&' - LG화학, 작년 4분기 영업손실 2520억 &'적자전환&' - iM증권 &'LG엔솔, 중장기 전망치 하향…목표가↓&' - K배터리 캐나다·멕시코에 생산기지…타격 불가피 - 트럼프, 전기차 의무화 폐지…&'IRA 자금 재검토&' - &'리튬가↑·모델 Y 사전판매 호조…주가 반등 예상&' - &'배터리 업황·정책 불확실성…상승세 지속 글쎄&' ◇ 최근 글로벌 빅테크들이 휴머노이드를 중심으로 한 로봇산업에 뛰어들고 있고 관련해서 새로운 뉴스들도 계속 나오고 있거든요. 이 내용들도 짚어봐 주시죠. - 반등일까 반짝일까…혼란 속 빛나는 로봇주? -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완전 자회사 편입 - 삼성전자 &'첨단 로봇 개발에 속도 낼 것&' - 트럼프 관세에도 천하무적…로봇주 최고가 행진 - 올해 상승 탑 5는 로봇주…하이젠알앤엠 상승률 1위 - 현대차 로봇 &'아틀라스&' 올해 말 공장 투입 - 현대차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5년 내&' - 엔비디아·테슬라 등 빅테크, 로봇 개발·상용화 - 삼전, 레인보우로보 자회사 편입…대규모 투자 - BMW, 지난해 운반·조립 등 휴머노이드 로봇 투입 -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들, 올해 양산 체제 구축 - 테슬라, 올해 휴머노이드 로봇 1천여 대 공장 투입 ◇ 딥시크 충격이 네이버, 카카오에는 호재로 다가오는 분위긴데요. 오픈 AI의 샘 올트먼 CEO가 카카오 정선아 대표와 만남을 가진다고 하면서 카카오와 오픈 AI 간의 협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네카오 본격적으로 지켜봐도 괜찮을까요? - 샘 올트먼 CEO 방한…카카오와 &'협업&' 발표하나 - 오픈 AI, 서울서 비공개 워크숍 &'빌더 랩&' 개최 - 카카오, 자체 AI &'카나나&' 공개…올해 출시 예정 - 카카오, 오픈 AI 모델 자사 모델에 활용 전망도 - 샘 올트먼 CEO, 삼성·SK·카카오 만나 논의 예정 - 딥시크 등장에 네이버 부각…AI 비용 절감 기대 - 네카오, &'딥시크 등장&'에 저비용·효율화 수혜 전망 - 국내 인터넷 업종 &'오픈소스&'…딥시크 등장 호재 - 딥시크 오픈소스 활용 시 고성능 AI 서비스 가능 - 후발주자에 기회 열려…네카오 목표가 상향 ◇ 어제(3일)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낙폭이 큽니다. 긴장감을 가지고 지켜보시는 분들도 많지만, 지금을 오히려 저가 매수 기회로 보는 분들도 적지 않은 거 같아요?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지금이 저가 매수 기회? - &'기회·위험 공존&'…삼성전자 주가 향방은? -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익 6.5조…반도체 2.9조 -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1심 이어 항소심 무죄 - &'사법 리스크&' 해소한 이재용…&'업무 전념 희망&' - 삼전, 엔비디아에 &'HBM3E 8단&' 납품…진위는? - 딥시크 여진 계속…삼성전자·SK하닉, 동반 약세 - &'SK하이닉스 &'딥시크 쇼크&' 딛고 반등 전망&' - 증권가 &'삼전, 역사적 저점…호재에 민감한 영역&' - &'AI확대 기폭제…엔비디아 악재지만 AI 호재&' - &'AI혁신, 효율적인 개발에 승패 결정될 것&' - &'엔비디아 중심 AI 인프라 경쟁…빨리 바뀌지 않아&' ◇ 관세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섹터 중에 하나가 엔터 쪽인데, 3월 양회를 앞두고 기대감도 있고 암묵적인 한한령도 해제되는 분위기잖아요. 지금 엔터주 접근은 어떤가요? - 관세 무풍지대…돌아온 엔터주의 시간? - BTS·블랙핑크 완전체 복귀…대형신인 줄 대기 - 중국, 3월 &'양회&' 개최…경기 부양 윤곽 주목 - JYP엔터, 신인 &'킥플립&' 20일 첫 미니 앨범 발매 - 에스엠,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 2월 데뷔 확정 - 하이브·카카오도 참전…엔터 격전장 &'팬덤 플랫폼&' - &'위버스&' MAU 970만 명…새 유료 멤버십 출시 - 디어유, 중국 최대 음악 플랫폼 텐센트와 제휴 - 멤버십·굿즈로 수익 다각화…한류 팬 2억 명 이상 - 잠겼던 중국의 문 열릴 조짐…K팝 공연 러브콜 ◇ 은행주들은 이번 주 실적 발표 전후로 밸류업 모멘텀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새해 들어서 반등 흐름이 나오고 있고 상대적으로 타격도 덜해서 피난처로 부상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 관세전쟁·딥시크 충격에 피난처 된 은행주? - 올해 KRX은행지수 5.5%↑…코스피 상승률 상회 - 수출주 리스크에 &'방어용&' 은행주로 수급 이동 - 4대 시중은행, 지난해 역대급 순이익 전망 - &'주주환원 확대로 밸류업 모멘텀 부각 기대&' - 밸류업 기대감…금융지주 지분 늘리는 국민연금 - 주주환원 매력…국민연금 금융지주 3309만 주 매입 ◇ IPO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LG CNS로 분위기가 살짝 반전된 거 같기도 한데요. LG CNS 어떤 기업인지도 살펴봐 주시죠. - LG CNS 공모주 한파 속 &'선방&'…흥행 기록할까 - LG CNS 중복 상장 논란…LG엔솔과 차이점은? - LG CNS, 국내 최대 대외 IT 서비스 기업 - LG CNS, 스마트팩토리 사업 추진 - 21조 몰린 &'대어&' LG CNS, 5일 코스피 입성 - LG엔솔 이후 최대어, IPO 한파 속 5일 신고식 - 관심 긍정적…&'성공 안착 예상되나 불안요소도&'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윤진섭
|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