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앰플리파이 기술주 분산투자·고배당 ETF에 주목
&'기술주·고배당 ETF에 투자할 때입니다.&'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앰플리파이(Amplify) CEO 크리스티안 마군(Christian Magoon)은 오늘(7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파트너사인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금융시장 현황과 투자 인사이트를 전망하면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구글, 아마존, 메타, 테슬라를 포함한 일명 M7(Magnificent7)의 분기별 전년대비 EPS(주당 순이익) 성장률이 작년 4분기 정점을 기록한 뒤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성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이유에섭니다. 그는 &'IT나 통신 등 기술섹터의 성과는 양호하고 향후에도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M7 주식에 대한 쏠림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라면서도 &'기술주식을 분산 투자하는 전략이 더 바람직하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될 것으로 보이고, 금리 인하 추세도 완만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금리 상태가 상당기간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마군 CEO는 &'잉여현금흐름이 우수한 회사들은 고금리 기조 장기화에도 꾸준한 배당을 지급하면서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기대할 수 있다&'라면서 &'고배당 주식들로 구성된 ETF로 불확실한 시장에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대선과 관련한 투자 전략도 공유했습니다. 그는 &'미국 대선이 있는 해의 주가 움직임을 역사적으로 분석해 보면 주식시장의 경우 상승세를 기록한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다&'라면서 &'주식에 대한 관심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S&&P500의 경우 주가가 상승한 경우가 83%로 비율이 제일 높았고, 나스닥이 77%, 다우존스산업평균이 74%로 뒤를 이었다는 부연입니다. 앰플리파이에 따르면 대선이 있는 해의 주가 평균 상승률은 S&&P500 11.6%, 나스닥 9.3%, 다우존스산업평균 9.1%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지난 2022년 4월 삼성자산운용은 앰플리파이의 지분을 일부 인수하며 협업을 시작한 뒤 앰플리파이의 메가히트 ETF 상품인 &'BLOK ETF&'와 &'DIVO ETF&'를 각각 아시아와 한국 시장에 맞게 현지화해 출시했습니다. 이후 2022년 7월 홍콩 시장에 아시아 최초로 &'삼성 블록체인 테크놀로지 ETF&'를 상장했고, 같은해 9월엔 &'삼성 KODEX 미국 배당프리미엄 액티브 ETF&'를 국내에 출시했습니다. 작년 11월에는 삼성자산운용이 국내 최초로 선보인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ETF의 상품구조를 복제해 미국 뉴욕거래소에 Amplify Samsung SOFR ETF를 상장하는 등 지속적인 시너지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마군 CEO는 &'삼성자산운용과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한국과 아시아는 물론 ETF의 본고장인 미국 시장에서 혁신적인 ETF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면서 &'앰플리파이와 삼성자산운용은 글로벌 선진 운용사로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SBS Biz
|
김동필
|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