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프리뷰] 코스피, 악재 딛고 상승 전환…트럼프발 관세 촉각
■ 모닝벨 &'마켓 프리뷰&' - 염정 iM증권 도곡WM센터 영업부장 어제(1일) 국내 증시는 하루 만에 급락세에서 벗어났죠. 하지만 불확실성은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가 임박한 오늘(2일), 시장 흐름 예상해보고 전략 세워보겠습니다. iM증권 도곡WM센터, 염정 영업부장 연결됐습니다. Q. 코스피가 2500선을 회복했습니다. 먼저, 어제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코스피, 전날대비 1.62% 상승…2521.39 장 마감 - 외국인 3901억원 매도…개인·기관 순매도로 방어 - 다시 힘내는 반도체…SK하이닉스 3.3% 상승 마감 - 2차전지주 공매도 타깃…LG에너지솔루션 1.94%↓ - 미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시장 악재 선반영 분석 - 전문가 &'최악의 시나리오 선반영…증시 기술적 반등&' - 탄핵 심판 선고일 공지…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효과 - 코스닥, 691.45 장 마감…전날대비 2.76% 상승 - 원·달러 환율, 1,471.90원 기록…전일대비 1.00원↓ - 상호관세 우려 커지며 장중 한때 1,476.70원 터치 Q. 이번 주 공매도 재개와 관련해선 관련주들 움직임, 앞으로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 공매도 재개 하루 만에 총 43종목 1일 공매도 금지 - 변동성 컸던 종목들 타깃…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 &'공매도 선행지표&' 대차잔고 상위종목 1위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공매도 첫날 공매도 금액 2298억 최대 -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HBM에 지난해 주가 급등 - LG엔솔·에코프로·포스코퓨처엠 등 지난해 &'랠리&' - 5월까지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도 한시 확대 운영 - 공매도 주가 변동성, 코스피보다 코스닥 더 커 - 공매도중앙점검시스템 통해 불법 공매도 철저히 점검 - 이복현 &'공매도 급증 종목, 시장조치 강화할 것&' 강조 - 공매도 선순환 언급…&'중장기 변동성 낮추는데 기여&' - 금융당국, 미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 - 글로벌 자금, 미국 외 국가 이동…&'한국도 여건 조성&' Q.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가 걱정이 되는데요. 증시 충격이 얼마나 클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 미 재무장관 &'2일 오후 3시에 상호관세 발표 있을 것&' - 트럼프 &'우린 그들보다 친절…그들 숫자보다 낮을 것&' -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임박…백악관 &'효과 거둘 것&' - 레빗 &'대통령, 4월 2일 미 해방의 날 수차례 언급&' - 자동차 관세 예정대로…&'상호성 결여가 무역적자 초래&' - 레빗 &'관세, 발표 즉시 발효…꽤 오랫동안 얘기해와&' - 기업들 대미 투자 &'골몰&'…&'미국 투자 약속 지켜봐&' -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미국 투자·일자리 창출 주장 - 전문가들 &'관세 정책, 물가 상승·일자리 감소&' 비판도 - 레빗 &'관세로 美 황금기 되찾고, 제조업 강대국 될것&' - 트럼프, 현지시간 2일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 - 상호관세 아닌 모든 수입품 20% 관세 부과 방안 거론 - 20% 관세 가능성엔 &'앞서가지 않겠다&' 답변 피해 Q. 최근 미국 경제지표들 보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계속해서 키우고 있어요. 이럴 때 투자전략은 어떻게 짜야하는 건가요? - 미 3월 제조업 PMI 하락…관세 우려에 3개월만 &'위축&' - 미 3월 ISM 제조업 PMI 49.0…전월 대비 1.3p↓ - 미 제조업 PMI, 올해 1~2월 50 상회…&'확장&' 국면 - 업체들, 관세 시행 앞두고 선주문…배송·재고 50 상회 - ISM &'배송·재고 확대, 경제에 긍정 요인 간주 안 해&' - 관세 부과 이후 흐름 역전 전망…&'재고 하락 예상&' - 견조하던 美노동시장 냉각 기류…구인 예상치 하회 - 미 2월 구인건수 756.8만건…전달대비 19.4만건↓ - 구인건수, 시장 전망치 하회…미 산업 전반 감소 - 2월 고용 건수 539.6만건…퇴직 건수 526.1만건 - 연방 정부 규모 축소…관련 퇴직 31.3만→34.6만 - 전문가 &'계속되는 불확실성에 낮은 수준 고용 유지&' - CNN &'기업, 채용 줄이고 사람들은 퇴직하지 않아&' - CNN &'관세, 美 자동차산업 일자리 수년간 감소 전망&' Q. 업종별, 종목별로 집중해본다면 어디가 긍정적인가요? - 투자자들, 증시 &'롤러코스터&'에 시장 관망세 확대 - 국내외 대형 이벤트에 불확실성 회피…거래 활력↓ - 큰 폭 등락 반복…&'4월 불확실성 구간 본격 진입&' - 수출 기업 비중 높은 국내 증시…미국 관세 불리 - 전문가들 &'이번 주 내내 눈치보기 장세가 될 듯&' - 시장 일각, 이달 조정장 이후 증시 반등 전망도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김완진
|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