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MS CEO와 자택서 오찬…머스크·밴스도 배석
마이크로소프트(MS)의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을 만나 식사를 함께 했습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나델라 CEO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의 트럼프 자택을 방문해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J.D 밴스 부통령 당선인도 배석한 회동에서 나델라 CEO는 트럼프 당선인에게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투자 계획 등 현안을 설명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AI 데이터 센터에 투자할 800억 달러(약 116조원)의 예산 중 500억 달러(약 72조8천억원)를 미국에 투입하겠다는 것입니다. MS 측은 성명을 통해 이 같은 투자가 미국인 노동자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마러라고 회동은 생산적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MS에선 나델라 CEO 외에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도 마러라고 회동에 참석했습니다. MS 경영진이 마러라고를 방문한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앞서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차원으로 보입니다. 앞서 애플의 팀 쿡과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등 빅테크 인사들이 경쟁적으로 마러라고를 방문해 트럼프 당선인과 식사를 했습니다. 또 애플, 메타, 오픈AI, MS, 구글, 보잉 등은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 준비위원회에 최소 100만 달러(14억7천만원 상당)를 기부했거나 기부를 약속했습니다. 오는 20일 열릴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에도 저커버그를 비롯해 오픈AI의 CEO인 샘 올트먼 등 빅테크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애플의 추락… 中에서 비보에게 밀리고 화웨이에게 잡히고
수년간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 1위를 달리던 애플이 지난해 비보와 화웨이 등 중국 업체들에 밀려 3위로 떨어졌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 자료를 인용, 지난해 애플의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이 17% 줄면서 판매 1위 자리를 내줬다고 16일 보도했습니다. 저가형 스마트폰 업체인 비보가 1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고가형 제품을 내놓는 화웨이는 16%로 2위였다. 애플은 점유율 15%로 3위까지 밀렸습니다. 애플 아이폰은 작년 4분기 중국 내 매출이 25% 줄어드는 등 4개 분기 내내 매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연간 매출 감소 폭은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애플의 부진은 중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하지 못한 것이 큰 원인으로 보입니다.
'오징어 게임2' 채경선 미술감독, 美 ADG 후보…연속 수상 도전
[SBS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2의 미술을 담당했던 채경선 미술감독이 미국 미술감독조합상(ADG) 후보에 올랐다. 16일 ADG에 따르면 채경선 미술감독은 제29회 미술감독조합상 1시간 현대극 싱글 카메라 시리즈 부문 후보로 선정됐다. ADG상은 영화와 TV 드라마, 광고, 뮤직비디오 등에서 아름답고 예술적인 배경과 미장센 디자인을 연출한 미술감독과 세트 디자이너에게 주는 상이다. 채경선 감독은 아마존 프라임 드라마 '미스터 앤드 미세스 스미스', 애플tv '슬로우 홀시즈', 넷플릭스 '더 젠틀맨', 파라마운트 '옐로우스톤' 미술감독과 트로피를 놓고 경합을 벌이게 됐다. '오징어 게임' 시즌2는 한층 더 다채롭고 화려한 세트로 희비가 교차하는 데스게임의 몰입도를 높였다. 채경선 감독은 지난 2022년 '오징어 게임' 시즌1로도 같은 부문에서 수상했다. 수상자는 다음 달 15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리는 제29회 ADG 시상식에서 발표된다. ebada@sbs.co.kr
기술·인력 중국 회사 넘기고 이직…검찰, 영업이사 등 구속기소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폰 관련 첨단기술과 핵심 인력을 중국 회사에 통째로 넘기고 이직한 영업이사와 직원 등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정보기술범죄수사부(안동건 부장검사)는 중국업체 한국지사 A사의 실질적 대표를 맡고 있는 이 씨 등 6명을 구속기소하고, 범행에 가담한 직원 10명을 불구속기소 했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이 씨는 국내 중소기업 B사의 영업이사 출신으로, B사 핵심 엔지니어 20여 명을 끌어들여 A사로 이직하면서 카메라 모듈 검사장비 핵심 기술을 유출한 혐의를 받습니다. 검찰 조사 결과, 이 씨는 2021년 애플 등 해외기업 영업을 위해 B사에 영입됐지만, B사가 경영난을 겪자 중국 회사 등에 접근해 자신이 엔지니어들과 함께 이직해 카메라모듈 검사장비 사업을 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실제로 이 씨는 B사 R&&D센터와 설계팀, 영업팀 등 장비개발, 해외영업 관련 핵심 엔지니어 등 20여 명을 데리고 나와 A사에 입사하고, B사의 첨단기술인 '그래버' 기술자료를 유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래버는 카메라 모듈 검사장비의 핵심 장치로, 전 세계에서 B사를 비롯한 국내 3개 업체만이 애플 스마트폰 전용 카메라모듈에 대한 검사장비 그래버를 독점 공급합니다. 검찰은 2023년 1월 국가정보원 산업기밀보호센터로부터 첩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했고 A사 압수수색 등을 통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검찰은 2023년부터 관련자들을 차례로 기소하고, A사 한국지사 실제 대표인 이 씨와 설계팀장 등 2명도 구속기소한 겁니다. 검찰은 앞으로도 국내 중소기업과 국가 경제를 위협하는 산업기술의 국외 유출범죄에 엄정 대응할 예정 이라고 말했습니다.
뮤지컬이 '꼰대 대통령' 소환 ?....세상을 번역하다ㅣ번역가 황석희 [커튼콜 248]
“우리 나라 대통령이 누군지 알지? 역대급 꼰대 중에 왕꼰대!” 지금 공연 중인 뮤지컬 '틱틱붐'에는 이런 대사가 나오죠. 한국의 현실과 맞물려 더욱 인상적인 대목인데요, 데드풀, 스파이더맨, 아바타 등 영화 번역으로 이름난 황석희 씨가 이 뮤지컬 번역을 맡았습니다. 오늘 커튼콜에서는 황석희 씨와 함께 뮤지컬의 매력과 번역 이야기 들어봅니다. 그는 서른 즈음 젊은 예술가의 삶을 그려낸 '틱틱붐'에 애정과 공감을 느꼈다고 하죠. 그 역시 밴드 활동을 했었고 기약 없는 미래에 불안한 시절이 있었으니까요. 틱틱붐 번역과 제작 비하인드, 작품의 메시지. 영화와 뮤지컬 번역 차이, 밴드 출신 번역가의 장점 등등 흥미로운 내용 놓치지 마세요. 뮤지컬 '틱틱붐'의 주요 곡도 함께 감상합니다. ♬ 틱틱붐 '30/90' ♬ 틱틱붐 'Therapy' ♬ 틱틱붐 'Come to your senses' ♬ 틱틱붐 'Louder than Words' (제공 신시컴퍼니) 유튜브 재생목록 김수현 문화전문기자의 커튼콜을 추가해 보세요. 진행: SBS 김수현 문화전문기자, 이병희 아나운서 l 출연: 번역가 황석희 ㅣ편집 : 김은혜 PD ▶ & '커튼콜'은 SBS뉴스 홈페이지와 네이버 오디오클립, 팟빵, 애플 팟캐스트 등 여러 오디오 플랫폼에서 청취하실 수 있습니다. SBS뉴스 유튜브 채널에서 보이는 팟캐스트 클립으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팟빵' 접속하기 - '네이버 오디오클립' 접속하기 - '애플 팟캐스트' 접속하기 - '유튜브' 접속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