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 기업·사람] 월마트·타겟·지멘스·인피니온·롯데·테라폼 랩스
■ 경제와이드 모닝벨 &'오늘 기업 오늘 사람&'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 ◇ 뉴욕증시 재고 폭탄 &'월마트·타겟&' 코로나19 팬데믹 후 급증한 수요에 창고 채우기에 몰두했던 미국 소매·유통업체들이 이제는 쌓여가는 재고에 곤란해졌습니다. 역대급으로 치솟은 물가에 미국인의 소비력이 억제되면서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인데요. 상품 재고가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죠? - &'공급난에 쟁여놨는데&'…美 소매업계, 재고에 한숨 - 타겟, 4월 말 기준 재고 151억 달러…전년비 41% 급증 - 재고할인 탓에 타겟 2분기 이익률 전망 3.3%p 하향 - 실적 부진에 이어 3주 만에 영업이익률 &'대폭 조정&' - 지난달 18일, 부진한 실적 발표로 하루에 25% 폭락 - &'재고 낮춰가면 올 하반기엔 분명한 마진 개선 가능&' - 미국 주요 소매업체 6곳 평균 재고회전일수 68일 - 치솟는 물가→소비심리 위축→수요 감소→재고 급증 - 월마트도 재고 탓에 고전…지난달 실적 쇼크에 20%↓ - 캐시 우드 &'재고 너무 많아…인플레이션 완화할 것&' - &'재고 처분&' 소매업엔 악재지만…&'물가안정엔 도움&' - 월마트 &'&'원숭이 노동착취&' 태국 코코넛제품 불매&' - 동물보호단체, 태국 코코넛 농장 원숭이 실태 고발 - 이빨 뽑힌 &'노예 원숭이&'가 딴 코코넛…&'동물 학대&' - 3~5개월간 코코넛 따는 훈련 받은 뒤 &'현장&'에 투입 - 영국·미국 중심 태국 코코넛 제품 &'불매운동&' 확산 - 월마트 가문, NFL 덴버 브롱코스 인수…북미 최고액 - ESPN 등 현지 언론 &'덴버 구단 가격 5조 8,500억 원&' - 역대 북미 프로스포츠 인수 최고액은 3조 1,100억 원 - 월턴 전 회장 순자산, 74조 원으로 세계 부자 17위 - 덴버 브롱코스 구단, 슈퍼볼에서 통산 3차례 우승 - 월턴 &'덴버 브롱코스 존경…인수할 수 있어서 기뻐&' ◇ 이재용 M&&A &'지멘스·인피니온&' 유럽으로 출장을 떠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현지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독일로 향했습니다. 이 부회장이 출장 기간 독일부터 방문한 것은 삼성그룹 현지 공장을 둘러보기보다는 해외 대형업체 최고경영자(CEO)들과의 만남을 우선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재용 부회장이 독일을 방문했죠? - 유럽行 이재용, 독일 방문…공급망·M&&A 담판 주목 - 헝가리 공항 도착하자마자 현지공장 대신 獨 건너가 - 독일, 故 이건희 회장이 &'신경영 선언&' 내놓은 나라 - 첫 행선지는 BMW·지멘스 등 본사 있는 뮌헨 가능성 - 자사 공장은 &'패싱&'…네덜란드 등 주변국 방문 예상 - 인피니온·NXP·ARM 등 인수합병 논의도 관심 집중 - 삼성전자의 오랜 협력사 지멘스 수뇌부와 회동 예정 지멘스, 파운드리 첨단공정 설계자동화 도구 등 제공 - 2월 인텔의 파운드리 서비스 생태계에도 참여 선언 - 2012년에도 지멘스 본사 방문한 이재용…대표와 만나 - 2014년, 2015년 서울서 지멘스 회장과 잇따라 회동 - 최악 부패 스캔들서 윤리경영 롤모델 사례된 지멘스 - 2년 전 삼성준법위 워크숍서 &'지멘스 쇄신&' 등 경청 - 173년 역사의 독일 기업 지멘스, 2006년 부패 스캔들 - 뇌물공여·분식회계·공금횡령 등 지멘스 이미지 실추 - 지멘스의 반전…준법경영 최우선 가치로 조직문화 구축 - 독일 반도체 기업 인피니온, 삼성전자의 M&&A 후보군 - 인피니온, 1999년 지멘스의 반도체 사업부 분사 설립 - 자동차 전자기기 제어 MCU·전력반도체 등 주력 생산 - 차량용 반도체 품귀 현상 탓에 삼성 유력 M&&A 후보 - 국내 완성차 1,2위 현대차·기아의 오랜 고객사 인피니온 - 인피니온- NXP,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시장 선두 경쟁 ◇ 추경호 부총리 패싱 &'롯데&' 롯데리아가 제품 판매가격을 인상합니다. 총 81개 품목을 평균 5%씩 올리는데, 추경호 부총리가 재계에 물가 인상 자제 요청을 한 지 일주일만입니다. - 추경호 자제 요청에도…롯데리아, 가격 또 올린다 - 롯데리아, 오는 16일부터 평균 5.5% 판매가 조정 - 불고기·새우버거 단품 가격 4,500원, 세트는 6,600원 - 지난 2일, 추경호 부총리- 경제단체장 간담회 개최 - 추경호 &'가격 상승 요인, 최대한 자체 흡수해 달라&' - 당부에도 가격 올린 롯데리아…&'원가상승 압박 커&' - 롯데, 중국 철수 임박…블룸버그 &'韓 대기업들 탈출&' - 본사 폐쇄 막바지 단계, 아모레퍼시픽 등 사업 축소 - &'한국 대기업 잇따른 철수…양국관계 시들해진 현상&' - 야심 차게 중국 시장 진출한 유통업체…줄줄이 철수 - 날개 돋친 듯 팔린 한국 화장품·게임산업도 추풍낙엽 - 사드 보복·제로 코로나 정책에 결국 중국 사업 철수 - 롯데바이오로직스 공식 출범…초대 대표에 이원직 상무 - 롯데그룹의 바이오 신사업 담당하는 롯데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출신 이원직, 지난해 8월 롯데 합류 -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임원?감사까지 &'70년대생&' - 이원직, ESG경영혁신실장·롯데헬스케어 초대 대표 겸직 - &'바이오USA 2022&' 전시회 참가로 공식 일정 시작 ◇ 루나2.0 권도형 잠적 &'테라폼 랩스&' 가치 폭락으로 실패한 암호화폐(코인) 루나의 후속으로 나온 &'루나2.0′마저 출시 열흘 만에 가격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루나 개발자인 테라폼 랩스의 권도형 최고경영자(CEO)는 소통 창구였던 트위터 계정을 폐쇄했습니다. 루나가 또 폭락을 했죠? - 루나2.0도 90% 폭락…권도형 한때 트위터 비공개 전환 - 여론 반대에도 지난달 28일 나온 후속 가상자산 추락 - 루나2.0, 지난달 28일 오후 1개당 17.8달러에 상장 - 상장 직후 19.54달러까지 올랐다가 2달러대로 추락 - &'루나2.0은 고래·기관 손실 만회 위해 만들진 것&' - 루나 개발자로서 재기 꿈꿨던 권도형 대표의 몰락 - 권 대표, 루나2.0 상장 당시 홍보하더니 비공개 전환 - 국내 투자자들 &'사기 혐의&' 고소…美서도 감독 강화 - 루나 사태 탓에…전 세계 동시다발 가상자산 규제 강화 - 美뉴욕주, 스테이블 코인 규제 강화…매월 회계감사 - 국제금융센터·금융연, 스테이블 코인 규제 필요성 지적 - 美 법원 &'테라 권도형 대표 SEC 조사받아라&' 명령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전서인
|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