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머니] 금값 연일 최고치 경신…언제까지?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하우머니&' - 조규원 스태커스 대표, 『골드플레이션』 저자 우리가 평소에 비싼 물건을 두고 금값이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요즘 같아서는 그런 말도 함부로 못 하겠어요. 그야말로 금이 정말 금값이 됐습니다. 주변에서 지금이라도 금 투자를 들어가도 되는지, 너무 늦은 건 아닌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3일) 금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스태커스 대표이자 골드플레이션 저자, 조규원 작가 자리했습니다. Q. 한없이 오를 것만 같던 금값이 잠시 주춤합니다. 일부 차익실현 매물이 나온 건데요. 전 세계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경제적 불안이 고조되면서 안전자산 인기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습니다. 최근 금값 추이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 - &'천정부지&' 국제 금값 상승세 지속…최근 추이는? - 금 시세, 글로벌 불확실성·인플레 우려 속 상승세 - 국제 금값, 트럼프 관세 &'변덕&'…안전자산 선호 &'랠리&' - 지난달 온스당 300달러 돌파…보름 만에 3100달러대 - &'트럼프 관세&' 공개 이후 불확실성 완전 해소 미지수 - 대표적 안전자산 금 수요 확대…&'하반기 지속될 듯&' - 스태그 플레이션 우려 고조…글로벌 자산시장 변동성↑ - 수입 규제·통상 마찰 가중 우려…금 선호 심리 확대 - 미 경제 지표 둔화…하반기 미 금리 움직임도 촉각 - 국내외 시장 간 가격 차 확대…환율 변동 등 반영 Q. 투자자들은 당연히 금값 움직임에 예민합니다.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국내 골드뱅킹 잔액도 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는데요. 직접 실물에 투자하는 분들도 많지만 간편하기로는 골드뱅킹이 여전히 인기에요? - 식을 줄 모르는 금 인기…나도 &'금 통장&' 만들까? - 국민 등 골드뱅킹 취급 은행들, 잔액 1조 83억 집계 - 올 들어 골드뱅킹 잔액 약 30% 폭증…1년 새 80%↑ - 골드뱅킹 계좌 수 28만 5621좌 기록…1년 새 4.1 만좌↑ - 골드뱅킹 계좌 개설 후 입금…국제 금 시세 맞춰 적립 - 국제 금값 연일 최고치…손쉽게 금 매입 효과에 인기 - 전문가들 &'미 인플레이션 우려 등에 더욱 상승&' 전망 - &'지금이라도&' 관세 불확실성에 금값 상승 가속 전망 Q. 골드뱅킹보다는 조금 더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싶은 분들은 금 테마 ETF를 적극 사들이고 있어요? - &'믿을 건 &'금&' 뿐&'…날개 돋친 금 관련 ETF? - 개인 투자자들, 금 테마 상장지수펀드 적극 매수세 - &'ACE KRX금현물&' 지난 한 달 831억 순매수 몰려 - 세계금협회 &'현재 시장 심리 리스크 털어내자는 것&' - 고강도 관세발 &'S의 공포&' 우려 고조…금값 부채질 - 불확실성·경기 우려 확대…안전자산 찾는 투자자들 - 국제 금 시세 추종…매월 분배금 지급 ETF도 인기 - 글로벌 투자은행들 &'금 가격 상승세 한동안 지속&' - 골드만삭스, 연말 금 가격 예상치 3100→3300달러 - BofA &'금값, 2년 이내 3500달러까지 오를 수도&' - 관세에 가파른 상승세…&'앞으로 폭 크지 않을 것&' Q. 사실 골드뱅킹이나 금 ETF는 내가 산 금을 직접 볼 수는 없잖아요. 그래도 실물을 봐야 한다는 분들은 실물 투자를 선호하시는데요. 최근 금 수요가 급증하면서 골드바가 한때 품귀 현상을 빚기도 했습니다. 일부 은행에서는 골드바 판매를 중지했었는데 어제(2일)부터 다시 시중에 풀렸다고요? - &'귀하신 몸&'된 골드바, 다시 시중 유통 확대? - 1kg짜리 골드바 품귀 현상에 일부 은행 판매 중단 - KB국민·우리, 골드바 판매 재개…수급 차질 여전 - 국제 금 시세 상승…골드바 수요 급증에 판매 중단 - 원하는 크기대로 1g부터 1㎏짜리까지…골드바 인기 - 금 인기에 &'콩알금&' 보다 더 작은 0.01g 골드도 투자 - 젊은 층, 소액으로 금 투자 관심…&'실물이라 더 좋아&' Q. 얘기를 하다 보니 다양한 금에 관련된 다양한 투자 방식을 살펴봤는데요. 투자자 성향에 맞게 투자하는 게 중요한데 각자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 너도나도 &'금테크&' 열풍…최상의 투자 방법은? - &'나만 안 해?&' 금 투자 인기에 &'사재기&' 조짐까지 - 동네 금은방도 &'골드바 없어서 못 팔아&'…품귀 현상 - 투자법 따라 수수료 등 천차만별…&'꼼꼼히 따져야&' - 시중은행·금은방 등에서 직접 골드바 등 실물 구매 - 보유한 금 자체가 자산…변동성 가장 낮아 &'장점&' - 금 실물 구입 시 부가가치세 10%에 수수료 5% 추가 - 실물 구입, 초기 비용 감안하면 수익률 떨어지는 편 - 실물 금 구입 후 되팔 땐 배당소득세 등 세금 없어 - 시중은행 &'골드뱅킹&' 인기…KB국민·신한·우리 3곳 - 골드뱅킹 가입 뒤 0.01g 단위로 적립식 투자 가능 - 금 매수·매도 시 거래 수수료 1%…차익에 15.4% - 증권사 앱 이용해 KRX 금 거래 시장 참여도 가능 - KRX 금 거래 수수료 약 0.3%…배당소득세 등 면제 - KRX 금 거래 후 실물로 찾을 땐 부가가치세 10% - 주식 형식 &'금 ETF&'…실시간 거래 가능, 편의성↑ - 국내 금 ETF 배당소득세 15.4%…해외 양도세 적용 Q. 매장량은 한정돼 있고 찾는 사람은 많으니 이 분위기가 계속 갈 것 같지만 모든 자본시장이 그렇듯 한없이 오를 수만은 없습니다. 그런 와중에 곧 반토막 난다는 전망도 있던데요. 금값이 큰 폭으로 빠진 적이 있었나요? - 계속 오를 것 같은 금값…언젠간 떨어진다? - 금값, 연일 사상 최고치 갱신…&'찬물&' 보고서 촉각 - 리서치 기업 모닝스타 &'향후 5년 내 약 40% 급락&' - 모닝스타, 향후 금 온스당 1820달러로 하락 분석 - 공급↑·수요↓ 전망…&'사람들 금광 파고 싶어해&' - 지난해 금광업체 온스당 수익성 950달러 최고 기록 - 호주 등 주요 금 생산국들 대대적인 신규 금광 개발 - 모닝스타 &'지금처럼 생산량 늘어나면 지탱 못할 것&' - 트럼프 영향, 단기 현상 분석…&'수요 흐름 꺾일 것&' - 중앙은행 중 71%, 1년 내 금 보유량 유지·감소 계획 Q. 지난해 금값이 한차 오를 때 한은은 10년 넘게 금 보유를 늘리지 않고 있어 논란 아닌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한은은 여전히 금 매입에 신중한 모습인데요. 전 세계적으로 금을 가장 많이 사는 나라는 중국인데요. 인구도 많지만 중국 사람들이 금을 참 좋아해요. 중국이 금값을 끌어올린다는 말도 있어요? - &'금&' 신중한 한국은행 VS 모으는 중국, 왜? - 금 사상 최고가 경신…한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 - 12년째 104.4톤 유지…전체 외환보유액 중 1.2% - 김중수 전 총재 시절 90톤 매입 이후 추가매입 &'0&' - 한은 마지막 금 투자, 2013년 2월 금 20톤 매입 - 2013년 2월 시세 1627달러→최근 3100달러 근처 - 주요국 중앙은행들 금 매입 러시…中 2년 새 13%↑ - 인민은행 금 매입 발표…중국인 투자수요 급증세 - 인도 등 최근 매입 늘려…금값 급등에 평가익 막대 - 한은 외환보유액 안정성·유동성 확보 최우선 운용 Q. 모두 금, 금, 금을 외칠 때 은을 외치는 사람이 있습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죠. 로버트 기요사키가 금이나 비트코인보다 유망하다고 점찍은 것이 바로 은이에요. 금, 은 외에도 최근 구리 가격이 오르면서 원자재 투자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수익률로 보면 금은동 순이 아니더라고요? - &'코인보다 좋아&'…&'부자아빠&' 콕 찍은 투자처는? - 로버트 기요사키가 &'은, 가장 유망한 투자자산 될 것&' - 올해 은 약 2배 급등 전망…&'1~2년 뒤 6배&' 주장 - 기요사키 &'은 가격, 올해 안에 70달러 돌파할 것&' - 연일 &'은 찬양&' 나선 기요사키…공급보다 수요 많아&' - 금·은 상승 압력 전망…금 대비 덜 오른 &'은&' 추천 - 기요사키 &'은 투자하기 위해 부자 될 필요 없어&' - 트럼프발 금속 &'쇼크&'…금·구리 가격 &'고공행진&' - &'정배 아니었나&'…&'금은동&' 원자재ETF 역순 수익 - 中부양책 발표·美관세 전쟁에 구리 선물값 고공행진 - 구리선물 ETF 한 달 수익 10% &'쑥&'…은 투자 인기 Q. 마지막으로 코너 서두에 드린 질문을 다시 하겠습니다. 금 투자, 지금이라도 들어가야 할까요? - &'지금이라도 투자&' 고민…금값 어디까지 오를까? - 연준 인플레 전망 등 영향에 금값 추가 상승 기대 - 국제 금값 단기적 흐름 두고 전문가들 &'의견분분&' - &'이젠 매도 타이밍 볼 때&' VS &'지금이라도 사야&' - 금, 역사상 최고 수준 상승장…포모 두려움 호소 - 금값, 역사적으로 꾸준히 우상향…안전 자산 선호 - 1929년 美대공황, 1970년대 오일쇼크 때도 굳건 - 금, 포트폴리오 안정성 유지 위한 &'완충 장치&' 역할 - 트럼프의 금 관세 우려도…IB들 금괴 수송작전까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