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경의 인사이트] 미중 간 협상 기대감↑ …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3일 (월) 휴장 : 중국 [산업] 현대차·기아 1월 도매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 미국 12월 건설지출 1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ISM 고용, 제조업, 구매물가 - 유럽 1월 HCOB 제조업 PMI CPI, 근원 CP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제조업 PMI 한국 실적 : LG화학,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 DX, 효성중공업, 효성티앤씨, SBS ▲4일 (화) 휴장 : 중국 [산업] 미국 1월 판매 데이터, 현대차·기아 1월 지역별 판매 데이터 - 한국 1월 금통위 의사록 공개 - 미국 12월 구인이직보고서 구인건수 제조업 수주, 내구재 주문 신규 상장 : 아이지넷, 피아이이 한국 실적 : 하나금융지주, LG생활건강, 카카오페이 미국 실적 : 머크, 에스티로더, 화이자, 암젠, 페이팔 ▲5일 (수) [산업] 2025 F/W 서울패션위크(~9) - 한국 1월 CPI, 근원 CPI - 미국 1월 ADP취업자 변동 S&&P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ISM 서비스, 고용, 신규주문 - 중국 1월 차이신 종합, 서비스업 PMI - 유럽 12월 PPI 1월 HCOB 서비스, 종합 PMI - 일본 1월 지분 은행 종합, 서비스 PMI 신규 상장 : LG CNS 한국 실적 : KB금융, 카카오뱅크, GS건설, KCC 미국 실적 : 포드, 월트 디즈니, 캐터필러, 팔란티어, 온 세미컨덕터, AMD ▲6일 (목) - BOE 통화정책회의 - 미국 1월 Challenger Job Cuts - 유럽 12월 소매판매 한국 실적 : 한화솔루션, SK이노베이션, KT&&G, LG유플러스 미국 실적 : 일라이 일리, 퀄컴 ▲7일 (금) - 미국 고용보고서 [산업] FAO 세계 식량가격지수,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 - 미국 12월 소비자신용지수 1월 비농업부문고용자수 변동,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12월 선행지수, 동행지수 한국 실적 : 우리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NAVER, 롯데케미칼, 한화시스템 미국 실적 : 우버, 폭스, 익스피디아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간밤 뉴욕증시의 마감 상황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어떻게 보셨어요? - &'미중 간 협상 기대감↑&'…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나스닥 1.3%↑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976.59…1.05%↑ - 트럼프- 시진핑, 조만간 대화 나서나…기대감↑ - 트럼프 &'시진핑 주석과 통화 적절한 때에 할 것&' - 미 12월 구인 760만 건…전월 대비 55만 6천↓ - &'12월 구인 예상치 하회…고용시장 둔화 신호&' - 알파벳 2%↑…&'장 마감 후 4분기 실적 발표&' - 알파벳, 시간외거래서 급락…&'매출 예상치 하회&' - 알파벳, &'24년 4분기 매출 964.7억·EPS 2.15 달러 - 팔란티어 20%대↑…&'지난해 4분기 호실적&' ◇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관세 조치를 발표했죠. 캐나다와 멕시코는 30일 유예를, 중국에는 추가 관세 부과를 확실시했는데 협상용 카드라는 평이 많아요? - 트럼프의 관세…유리한 협상 이끌기 위한 수단? - 캐나다·멕시코 25% 관세…30일 간 유예 결정 - 대중국 10% 추가 관세 발효…&'中도 반격 나서&' - 불공정 무역관행 해소, 미 제조업 부흥 유도 - 관세로 정부 수입 확대…신규 세입 원천 활용 - 국제 협상 영향력 강화…&'압박용 카드&'로 활용 - 트럼프 대통령 취임 2주 만에 무역전쟁 시작 - 미국 교역국 톱 3, 캐나다·멕시코·중국 대상 관세 - 미국 수입의 40% 넘는 규모…시장 충격 커져 - 캐나다·멕시코 관세 30일 유예…&'협상용 카드&' ◇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 때문에 캐나다, 멕시코, 중국 대상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는데 교역국 톱 3를 결정한 다른 이유가 있다고 보세요? - 캐나다·멕시코·중국향 트럼프 관세…의미는? - 캐나다·멕시코 관세 25%…미국향 수출 비중 때문 - 캐나다·멕시코, 미국향 중간재·자본재 수출 비중↑ - 캐나다·멕시코 관세 30일 유예…&'취소는 미지수&' - 미국의 대중국 견제로 멕시코가 가장 큰 수혜 - 멕시코, 최근 3년간 대미 무역수지 흑자 급증 - 25% 관세 본격화 시 멕시코에 가장 큰 피해 - 관세 유예 발표 전까지 큰 환율 급등폭 보여 - &'25% 관세&'에 억울한 캐나다…대미 무역 적자 - 캐나다, 석유가스 부문만 미국 상대로 흑자 - 캐나다의 석유가스 수출…&'미국 필요에 의한 것&' ◇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선거 유세를 할 때, 중국을 향해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이야기도 했거든요. 그에 비해 추가 관세 10%라면, 그나마 다행이라는 의견도 있어요? - 중국향 추가 관세 10%…예상보다 낮아 다행? - &'중국에 추가 관세 10%&'…우려했던 것보다 낮아 - 중국, 트럼프 1기 이후 수출 다변화 노력 계속 - &'트럼프 1기 겪어 본 중국, 이미 대응 준비 완료&' ◇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향한 관세 조치가 발표됐을 때, 한국 상대가 아님에도 국내증시는 우려가 컸던 탓인지 3일에 큰 폭의 하락을 보이기도 했는데…다음 관세 타깃은 한국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와요? - 트럼프 관세 우려 여전…긴장 늦출 수 없는 한국? -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발표 후 국내증시 휘청 - &'대중 무역전쟁&' 심화될수록 국내증시에 악영향 - 트럼프 1기, 홍콩증시 이어 국내증시 하락폭↑ - 중화권 제외 중국과 경제 연관성 가장 큰 한국 - 미국의 중국 때리기…간접적인 &'한국 때리기&'로 - 최근 한국·대만·베트남 등 대미 수출 증가 - 캐나다·멕시코·중국에 이어 유럽 다음 타깃 한국? ◇ 과거 트럼프 1기 당시에는 관세 정책이 연준의 금리정책 경로를 바꾸게 만들기도 했는데…이번에는 어떨까요? - 과거 관세가 연준 금리정책 바꿔…이번에는? - 트럼프 1기, 관세 조치가 연준 금리정책 바꿔 - 연준의 관세 평가…미국 성장 악영향에 초점 - 트럼프 1기, 관세 전쟁에 성장 전망 빠르게 하락 - 과거 &'관세&'가 연준의 금리인상 멈추게 만들어 - &'관세&' 때문에 &'19년 7월부터 연준 금리인하 시작 - &'이번에는 인플레 복병에 연준 금리결정 난항&' ◇ 뉴욕증시, 기대했던 것보다는 강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우를 보면 &'뱀띠 해&'에 뉴욕증시가 부진했다고 하던데요? - 뉴욕증시, 과거부터 &'뱀띠&' 해에 강세보다 약세? - 뉴욕증시, 음력기준 뱀띠 해에 부진한 흐름 보여 - 트럼프 2기 시작·뱀띠 해 겹쳐 올해 흐름 주목 - 뉴욕증시, 올해 &'뱀띠 해 징크스&' 깨고 강세? - 새해 1월 성과의 중요도가 음력 1월로 전환 - 트럼프 대통령 취임…시장 환경 급변했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
신현상
|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