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성의 시장 훑기] 딥시크 서비스 잠정 중단…국내 증시 영향은?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김태성의 시장 훑기&' - 김태성 아이에셋 본부장 [이번 주 증시 이벤트] ▲17일 (월) [휴장] 미국(프레지던트 데이) - RBA 통화정책회의(~18) [산업] 2025 싱가포르 뷰티 아시아 전시회(~19), 유럽 1월 자동차 판매 데이터, 한국거래소 주식선물·옵션 10 종목 추가상장 - 일본 4분기 GDP 12월 설비가동률, 광공업생산, 3차 산업지수 ▲18일 (화) - 미국 2월 뉴욕주 제조업 지수 NAHB 주택시장지수 1년물 국채 입찰 - 유럽 2월 ZEW 서베이 예상 ▲19일 (수) [산업] 세미콘 코리아 2025(~21), 2025 일본 이차전지 전시회(~21) - 미국 1월 주택착공건수, 건축허가 2월 뉴욕 연준 서비스업 경기활동 - 일본 12월 핵심기계수주 1월 수출입 ▲20일 (목) [산업] 중국 산업정보통신부 월간 스마트폰 출하량 - 한국 1월 PPI 2월 소비자심리지수 - 미국 1월 선행지수 2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유럽 12월 건설 생산 2월 소비자기대지수 미국 실적 : 팔로알토, 월마트 ▲21일 (금) - 한국 2월 1~20일 수출입 - 미국 옵션만기일 1월 기존주택매매 2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S&&P글로벌 제조업, 서비스, 종합 PMI - 유럽 2월 HCOB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 일본 1월 전국, 국내 CPI 지분 은행 종합, 제조업, 서비스 PMI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코스피가 석 달 반 만에 2610선을 돌파했습니다. 시장이 반복되는 관세 이슈에 내성이 생긴 것도 같고, 관세를 협상카드로 사용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관망하는 분위기가 이어지는 거 같은데요. 어제(17일) 장 어떻게 보셨나요? - 코스피 2600선 회복…2700선도 넘보나 - 코스피 5 거래일 연속 상승, 코스닥 1.61%↑ - 관세 우려에 현대차 3% &'뚝&'…석화·금융株 강세 - &'31일 연속 순매수&' 연기금…코스피, 2610선 탈환 - 기관 매수세 상승 견인…개인·외국인 &'순매도&' - 한화에어로, 8%대 상승…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 - 삼성전자 보합, SK하이닉스 0.95% 상승 - 달러·원 환율 1.8원 내린 1441.7원에 마감 ◇ 딥시크의 국내 서비스가 잠정 중단됐습니다. 개인정보위원회에 따르면 일부 이용자 정보가 틱톡 모회사 등 제3자에게 넘어간 것으로 확인됐다고 하죠. 그간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방식에 대한 논란이 많았는데 이번 사건이 우리 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시나요? - 딥시크 서비스 잠정 중단…국내 증시 영향은? - 개인정보위 &'딥시크 앱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 개인정보위 &'딥시크 앱 개인정보 처리 미흡 확인&' - 개인정보위 &'딥시크 입력창에 개인정보 입력 신중히&' - 딥시크 국내 서비스 중단…&'개인정보 침해 논란&' - 딥시크 사용 시 이용자 정보, 틱톡 모회사 넘어가 - 딥시크, 정보 처리 방식 구체적 명시하지 않아 - 서비스 차단 조치, 신규 앱 다운로드 사용자 한정 ◇ 오늘(18일) 오후 1시에 xAI의 최신 챗봇 모델 &'그록3&'가 공개됩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이 모델이 지구에서 가장 똑똑하다라고 자신하기도 했는데요. 그록3 출시 이후에 수혜는 어디가 받아갈 수 있을지, 테슬라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도 주목해야 할 거 같아요? - 머스크가 만든 &'그록3&'…챗GPT 대항마 될까 - 일론 머스크, &'그록 3&' 곧 공개…수혜주는? - 일론 머스크, AI 챗봇 &'그록3&' 공개 예고 - 그록3,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얻은 데이터로 학습 - 전문가 &'그록3, 10만 개의 H100 GPU 사용해 학습&' - 전문가 &'그록3, 2억 시간을 학습…딥시크 V3 압도&' - 그록3, 합성데이터 의존…자체 수정 메커니즘 적용 - 그록3, 소셜미디어 기반…&'트렌드·뉴스 습득 빠를 것&' - 그록3, 상업적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로 제공 전망 - 오픈 AI 이사회, &'141조 원&' 머스크 인수 제안 거절 ◇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의 파운드리 사업부를 대만 TSMC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데요. 이게 성사되면 파운드리 업계에서 삼성전자의 입지가 더 줄어들게 되는 거 아닌가요? - &'반도체 해야&'…트럼프, 인텔 &'구원투수&' 나서나 - &'TSMC, 트럼프 압박에 인텔 공장 인수 논의 중&' - 미국·대만 실리콘동맹…&'추격자&' 삼성전자 타격받나 - 블룸버그 &'TSMC 인텔 공장 인수에 수용적인 태도&' - 트럼프, 3 나노 이하 첨단 공정 기술 확보하려는 의도 - 인텔, 창사이래 최대 위기…70조 원의 부채 떠안아 - 파운드리 점유율, 삼성 약 9.3%…중국 SMIC 6% - 삼성,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공장 증설 중 - TSMC 이어 브로드컴도 인텔 인수 검토 ◇ 정부가 1조 원 규모 K-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히면서 관련주에도 매수세가 몰리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지도 살펴봐주시죠. - 정부,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1조 원 투입 - 수요 기업·팹리스·파운드리 &'드림팀&' 결성 예정 - 국내서 AI칩 설계·생산 통해 선순환 구축 전망 - 국내 토종 팹리스가 설계, 파운드리 생산 형태 - 온디바이스 AI 시장 &'27년까지 217조 원 성장 예상 - 업계, 삼성전자, 위탁 생산 맡을 거라 관측 - 사업 분야, 기계와 로봇·IoT·가전·자동차·방산 등 ◇ 어제 반도체 관련주에 전반적으로 수급이 몰리는 분위기였는데, 온디바이스 AI 관련주뿐만 아니라 유리기판, CXL 관련주도 다 잘 갔거든요. 어떤 쪽을 가장 긍정적으로 보시나요? - 물 들어오는 반도체주…순환매 열리나 - 유리기판 VS CXL VS 온디바이스 AI…승자는? - 하닉·삼전, CXL 메모리 양산 나서…관련주 상승세 - 하닉 인증 작업 진행 고객사 구글·아마존·MS 추정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 인텔·AMD CXL 2.0 기반 CPU 출시…상용화 단계 - CXL, CPU·GPU 메모리를 연결해 초고속 연산 지원 - 유리기판 &'꿈의 기판&'…AI 반도체 미래 소재로 주목 - 유리기판 상용화 아직…시총 1조 상장사 속속 등장 ◇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전후로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언급했죠. 우리나라는 10%의 관세가 부과될 거란 예상이 나오는데, 10%면 EU나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나쁘지 않다는 평가도 나와요? - 관세 시사에 자동차주 &'브레이크&'…하락세 깊어질까 - 관세 우려에 멈춘 자동차株…현대차 3% 하락 - 현대차·기아, 연 4조 원 이상 손해 전망도 - 한국, 대미 무역흑자 557억 달러…3년 연속 최대치 - 미국 기준, 한국은 미국의 8번째 무역적 자국 - 부과 대상이나 관세율 등 구체적인 방식은 불분명 - 美 4월 2일 대미수출 1위 품목 車 관세 예고 - 한미 FTA 체결…승용차에 2016년부터 무관세 적용 - 업계, 자동차 관세 부과 시 한국 10% 관세 예상 - 韓 수출 최대 품목 반도체…의약품도 관세 표적 -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 -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결정…비관세 장벽도 고려&' - 러트닉 &'국가별로 협상 통해 차등화된 관세율 적용&' ◇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업종들도 짚어보면 좋을 거 같은데 소프트웨어, 보험, 바이오 업종들의 최근 흐름도 좋거든요. 주목하고 있는 종목이 있을까요? - &'관세 무풍지대 찾자&'…수익률 지킬 업종은? - 관세 영향 적은 네카오 등 소프트웨어주 반등세 - 보험사, 추가 주주환원책 기대감…어제 급등세 - 대신증권 &'삼성생명·화재 자사주 소각 기대감&' - 네이버, 국내 광고 플랫폼 중 유일하게 실적 회복 - 개별 기업 호재…제약·바이오 시총 7조 넘게 급증 - 유한양행, 국내 제약사 최초 연매출 2조 원 돌파 - 삼성바이오 질주…업계 최초 매출 4조 원 돌파 - 유한양행, 렉라자가 &'밑거름&'…주요 성장 요인 - 보령, 오너 3세 김정균 체제로 &'조 단위&' 퀀텀 점프 - 일동·부광, 수년간 이어진 적자 벗어나…흑자 전환 - 대웅제약, 의약품 R&&D 기반으로 실적↑·해외 진출 - &'K바이오, 개발·생산·판매 역량 모두 높아지고 있어&' ◇ 국내 금 투자 열풍이 일면서 국내 금 가격이 국제 금값보다 20% 이상 비싸지는 &'김치 프리미엄&'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금을 모으는 투자자 분들도 많지만 되팔기에 나서는 분들도 적지 않거든요. 지금 금 투자는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 국내 역대급 금 수요…금값 고점 vs 강세 지속? - 금값 치솟는데…12년째 안 사는 한은, 왜? - 한은 &'금보다 현금화가 용이한 채권·주식에 집중&' - 관세 전쟁에 경제 불확실성 고조…금 수요 폭발 - 각국 중앙은행 &'금 사자&'…한은 11년째 그대로 - &'금 대신 은&'…은행, &'실버바&' 판매 7배 폭증 - 금 쏠림 현상에 국내 금값, 해외보다 20% 비싸 - 2%대 예금 이자에 26조 빠져…금으로 몰리는 돈 - &'금도 김치프리미엄&'…골드바·골드뱅킹 사상 최대
SBS Biz
|
신현상
|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