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웬만해선 시트콤을 막을 수 없다


스프 어쩌다
힘들 때 우는 것은 삼류고, 참는 것은 이류지만, 웃는 사람은 일류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탤런트 이상민 씨가 지난 2013년 (무려 10년 전이네요) 한 방송에 출연해 셰익스피어의 경구라며 인용했는데, 큰 빚에 시달리면서도 쓴 미소를 짓던 이 씨의 표정 그리고 문구가 어우러지며 절묘한 '짤'이 생성되었고 이윽고 급속도로 퍼져나가게 되었죠. 이상민 씨는 그 후로 '일류좌'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말은 출처가 불분명합니다. 아무래도 셰익스피어가 남긴 많은 경구중에서, 환난을 극복하기 위한 올바른 마음가짐에 대한 일부 글귀를 어느 의욕적인 해설가가 상당히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게 '의역'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베니스의 상인> 중에는 비슷한 대사가 나오기도 합니다. "운명을 정복하는 사람들은 어려울 때도 웃으며, 이런 사람들은 세상이 자기 것이지, 자기가 세상의 것이 아니라는 걸 안다."

셰익스피어 인증 '일류' 여부는 불확실하더라도, 역시 '웃음'은 힘든 시간을 이겨낼 수 있는 강인함과 여유의 상징입니다. 그래서 정치인들의 연설문에도 유머적 요소가 포함된 경우가 많죠. 우리나라에서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당선인이 보통 가장 먼저 꾸리는 보좌진이 '정무팀'인데, 여기엔 향후 당선인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지 고민하는 인사들로 채워집니다. 역대 당선인들의 메시지 팀엔 코미디, 방송작가 출신 등으로 '유머'를 담당한 사람들이 더러 한 두 사람씩 눈에 띕니다.

웃음, 규칙을 위배할 때 싹트는 것

이처럼 막중한 역할을 하다 보니 담화 과정에서 웃음이 발생하는 요건에 대한 연구도 언어 및 수사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입니다. '무엇이 유머를 만드느냐'라는 고심은 '연설'이 곧 '정치력'이었던 고대 그리스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이런 선생님들도 연구한 흔적이 있다니까요. 그래서 성공적인 농담의 조건이요? 학계에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정설을 아우른다면 바로 '의외성'과 '부조화'라 할 수 있습니다.

긴장감 속에 있다가 그 긴장감이 사라질 때 웃음이 나온다는 각성 이론, 다른 사람의 열등감을 갑자기 깨닫게 될 때 우월감과 기쁨을 느끼면서 웃음이 유발된다는 우월성 이론, 원래 심각한 의미로 인지된 것이 갑자기 기대와 다르게 어처구니없거나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여겨져 웃음이 유발된다는 부조화 이론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령 부조화 이론의 예시는 이런 겁니다. 이제는 기억 저편으로 사라져 가는 추억의 최불암 시리즈를 소환해 봅니다.

연예인 최불암이 약사가 되었다. 어느 날 약국에 손님이 와서 쥐약을 달라고 했다. 최불암이 손님에게 물었다. "댁의 쥐는 어디가 아픈가요? 증상을 말해주세요" 마지막 문장이 나오기 전까지는 일반적인 담화 구조와 차이가 없지만 이른바 '급소 문장'이라 할 수 있는 담화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바로 저 문장이 등장하면서 비로소 '유머'가 된다는 겁니다.

유머와 웃음이 대화가 통하기 위해 암묵적으로 지켜지기를 기대하는 원칙을 위배했을 때 탄생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그라이스(Grice)라는 학자는 이런 원칙을 '격률'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는데요. 먼저 협동의 원리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대화를 할 때 화자와 청자는 대화의 맥락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협동한다는 겁니다. 이 격률이 위배되면 다음과 같은 사태가 빚어집니다.

A : 나잇값 좀 하세요!
B : 나이 한 살에 얼마입니까!


그다음으로는 양과 질의 격률입니다. 양의 격률은 의미가 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적절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질의 격률은 화자의 말이 '진실'이라고 받아들이는 겁니다. 그 밖에도 대화 주제에서 관련 있는 내용만 말할 것을 기대한다는 '관련성 격률', 화자와 청자가 서로 간단명료하게 말할 것으로 기대하는 '방법의 격률'이 있습니다. 조금 헷갈릴 수 있으니 예시와 함께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프 어쩌다

사라진 시트콤 자리를 메운 '캐릭터 쇼'

먹히는 법칙까지 다종다양하게 연구되는 '웃음'을 상업 시장에서 써먹는 건 당연지사입니다. 사람들에게 웃음과 기쁨을 주는 콘텐츠는 아예 '예능'이라는 구획으로 나뉘어 있죠. 지금은 국내 지상파에서 찾아보기 어렵지만 '시트콤' 역시 이 분야 대표 주자였습니다.

서사와 캐릭터를 갖추고, 주 4일 이상 같은 시간대에 30분가량 방송되던 에피소드 단위의 극. 시트콤은 시추에이션 코미디(situation comedy)의 약칭으로, 고정된 무대와 등장인물을 배경으로 독립된 에피소드를 코믹하게 엮는 드라마와 코미디의 혼성장르를 뜻합니다. 주로 인물의 성격, 인물 간 배경, 사건 등을 토대로 한 '특수한' 상황 설정에 의해 웃음이 유발됩니다.

시트콤이 장르로서 한국에서 최전성기를 누렸던 시기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후반입니다. 비교적 가까운 시기 방영된 MBC <하이킥> 시리즈에 앞서, SBS에도 이 시절 나온 명작들이 많습니다. <순풍산부인과>, <웬만하면 그들을 막을 수 없다>, <똑바로 살아라> 등은 현재도 방영 당시엔 세상에 태어나지도 않은 젊은 세대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시트콤입니다.

걸출한 신인들과 여전히 회자되는 명대사를 배출한 <순풍산부인과> 시리즈는 SBS 유튜브 채널 <빽능>에서 무려 1천3백3십 만회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일 저녁 정해진 시간에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보던 추억을 잊지 못한 '그때 그 시절'의 시청자들은 물론, 수요가 있지만 충분한 공급이 따라주지 않는 한국 코미디 시장의 새로운 고객들이 꾸준히 채널을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프 어쩌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렇듯 주 5회 30분씩 방영되는 '정통 지상파 시트콤'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상 메인작가 5명과 보조 작가 5명이 필요합니다. 이들은 매일 회의를 거쳐 100편이 넘는 에피소드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됩니다. 제작 스태프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회 분량이 적더라도 매일 정시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선 리소스가 적잖게 들어갑니다. 다시 말해 프로그램을 하나 제작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찮다는 이야기죠.

2010년대 들어 콘텐츠 제작 환경과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면서 연극 느낌의 소품과 비슷한 배경에서 찍는 시트콤에 대한 시청자들의 수요도 줄어들었습니다. 명맥을 이어오던 지상파 시트콤이 서서히 자취를 감춘 건 그때부터입니다. 가성비가 떨어졌거든요. 대신 '코미디' 장르에 대한 여전한 수요는 조금씩 다른 프로그램들이 적극 수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슬기로운> 시리즈(tvN)처럼 드라마에서 전통적인 시트콤 앙상블 캐스팅을 적극 활용하기도 하고 <마음의 소리>(KBS)나 <놓지마 정신줄>(JTBC) 같은 웹툰을 시트콤 형식으로 그대로 영상화하는 경우 등 여러 다양한 시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웃음을 담당하는 캐릭터를 적극 등장시키고, 코미디 시퀀스를 알리는 효과음을 넣는 등의 방식으로 각 분야에 시트콤 장르가 자잘하게 쪼개졌습니다.

'뉴트로' 열풍에 소환된 시트콤, '온라인 콩트'로 부활

특히 유튜브 등 온라인에선 이미 이용자들에게 익숙해진 10분 내외 짤막한 영상물과 시트콤이 결합하기도 합니다. 시트콤은 각종 크리에이터들의 '롤플레잉‧체험형 ASMR'과 지상파에서 설 곳을 자리 잡지 못한 개그맨들의 개인 채널에서 다시 부활 중입니다.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