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플러스] 명예 졸업식 대신 방학식 가진 단원고 희생자들

어제(12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서 조촐하게 졸업식이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250명의 학생들은 지난 주말 졸업식이 아닌 방학식을 가졌습니다.

아직 시신을 찾지 못한 2명의 선생님과 4명의 친구들이 돌아올 때까지는 학교를 떠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명예 졸업식을 마련해주겠다는 학교 측 제안을 유가족들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해서 사고 당시 2학년이던, 이제는 명예 3학년인 희생자들은 시간이 2014년 4월 16일에 멈춰진 채 기한이 정해지지 않은 긴 방학을 맞이하게 됐는데요, 이들이 졸업식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또 다른 중요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박수진 기자의 취재파일입니다.

[김상호/안산 단원고등학교 교사 : 졸업식 이후에 교실이 어떻게 될지 몰라요. 여러분이 앉아계신 곳의 그 아이의 기록들을 사진으로 하나하나씩 남겨놓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름 아닌 2학년 1반부터 10반까지 10개의 교실을 지키기 위해서였습니다. 참사 전까지 학생들이 생활했던 이 교실들은 참사 이후 '4·16 기억교실'로 불리며 추모의 공간으로 남아 지난 2년간 많은 시민들이 다녀갔는데요, 경기도 교육청이 이 교실들을 졸업식 때까지만 존치시키겠다고 했었기 때문에 유가족대책협의회가 명예 졸업식을 거절한 겁니다.

교육청은 대신 학교 정문 건너편에 지상 5층 규모의 가칭 '416 민주시민교육원'을 짓자고 제안했지만, 유족들은 기억교실을 옮길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부지나 예산 확보가 검토도 되지 않았을뿐더러 수백억 원을 들여 역사를 박제화하려는 발상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겁니다.

그러나 학교 측은 300여 명의 신입생을 수용하려면 이 교실들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목숨을 잃은 아이들의 온기를 보존하는 것만큼 학교 기능의 정상화도 필요하다는 학내 의견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잊지 말아야 할 불의의 기억을 강제로 지우는 것도, 그렇다고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기억의 벽으로 가로막는 것도 둘 다 피해야겠죠. 모두가 지혜를 모아 기억과 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 [취재파일] 단원고 3학년, 그들이 졸업을 할 수 없는 이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