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기능재부? 재능기부? 틀린 단어의 '역습'이 두렵다

[취재파일] 기능재부? 재능기부? 틀린 단어의 '역습'이 두렵다
유행이 한참 지났지만, 인터넷에 도는  글을 보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언어 분야의 인지과학을 공부하는 국내 연구자들이 실제로 이 문장이 어디서 나오게 되었는지를 추적한 적이 있습니다. 앞에서 보신 우리말 번역문은 다음과 같은 영문을 번역하면서 그 요지를 살려 우리말 어구의 순서도 바꿔 놓은 것입니다. 한 번 보실까요.
취파_640

그런데 해당 분야 연구자들에 따르면, 케임브릿지 대학은 실제로 이런 연구를 한 적이 없다고 합니다. 일부 인터넷 이용자가 2000년대 초반부터 갑자기 유행하게 된 이 글의 기원을 찾아본 적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는 진짜 케임브릿지 대학의 '인지 뇌과학 연구소' 연구원도 있었는데요, 이 연구원이 내린 추적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위의 문장은 1976년 영국 노팅엄 대학의 그레엄 롤린스라는 연구자가 쓴 '단어 인식에 있어서 글자 위치의 중요성'이라는 논문에 나오는 글이라는 것입니다. 다음의 영문 페이지(클릭)에 자세하게 적혀 있습니다.

갑자기 유행이 지난 글을 꺼낸 건, 이렇게 언어 인지의 문제, 즉 '과학'으로 그저 '신기하네' 하고 웃고 넘어갈 수 없는 '잘못된 말'들이 요즘 들어 부쩍 인터넷에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취파_640
자신이 갖고 있는 재주와 능력을 자선 사업이나 공공 사업을 돕기 위해 대가 없이 내놓는다는 뜻의 한자 합성어 '재능기부(才能寄附)'가 '기능재부'로 둔갑하게 된 발단은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자가 틀리게 말한 것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저도 당시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틀린 말인데 묘하게 입에 감긴다'는 느낌을 가지며 재미있다고 생각하고 넘겼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한자의 순서가 묘하게 비틀어진 이 단어가 이후 많은 기사에 실제로 당당하게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검색 포털에서 '기능재부'로 검색을 한 뒤 갈무리하면서 해당 언론사를 알 수 없도록 지웠지만,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상당수의 언론사와 통신사들도 이런 실수를 저지르고, 아직도 고치지 않은 채로 방치하고 있습니다.

취파_640
조금 더 흔한 예를 볼까요. 항공사 승무원 가운데 여성을 뜻하는 '스튜어디스(stewardess)'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성평등(Gender Equality) 개념이 확산되면서 이미 꽤 오래 전부터 남녀를 구별하지 않고 객실 승무원(Cabin Attendant)라고 부르고 있어서, 현재는 스튜어드/스튜어디스를 구별해서 쓰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널리 확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굳이 이 단어를 쓰면서, 한 술 더 떠 틀리기까지 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중간의 음절 위치를 잘못 바꾼 단어 '스튜디어스'가 가장 흔한 예입니다. 우리 말도 아니고, 발음도 헷갈리니 물론 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역시 문제는 그래서는 안되는 '언론'도 같은 잘못을 하고, 차후에도 잘못을 고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있다는 겁니다. 역시 포털사이트 뉴스 검색창에 '스튜디어스'를 입력한 뒤 나온 결과를 갈무리한 뒤 해당 언론사를 지운 이미지입니다.

예전에는 많은 학생들이 신문을 보면서 우리말을 배웠습니다. 저도 중·고등학교 시절에 국어 숙제로 신문 사설을 오려서 공책에 붙이고 다니면서 모르는 한자는 베껴쓰면서 외우고, 함께 띄어쓰기와 맞춤법도 공부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게 불과 20년 전입니다. 시대가 많이 변해 이제는 인쇄 매체보다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화면으로 글을 접하는 기회가 훨씬 많아졌습니다. 인터넷 안에서만 통용되던 이른바 '넷 용어', 또는 '넷 은어'가 오히려 실제 말글 생활로 유입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굳이 학교에서 배운 '언어의 역사성'을 들먹이지 않아도 일상에서의 말글 생활이 꼭 교과서에서처럼 한 점 티없이 깨끗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해를 돕거나 분위기를 전하는 등 특정한 목적을 갖고, 암시든 명시든 그 목적을 충분히 공유한 뒤에 '일부러 그런 것'이 아니라면, 적어도 활자화되는 기사는 엄격한 언어 원칙에 의해 작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약속'에 하나 둘 구멍이 나기 시작하면, 결국 그 피해는 언어의 궁극적인 목적인 '소통'의 피해로 고스란히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