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관제 안되는 관제센터…세월호 상황 몰랐던 이유는

<앵커>

공항의 관제탑처럼 바다의 선박 운항을 관제하는 게 VTS, 해상교통관제센터입니다. VTS는 보통 30km 안에있는 선박의 항로이탈이나 안전 운항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번 세월호 참사 때 배가 갑자기 속도를 줄이고 이상 징후를 보였는데 사고 해역에서 가장 가까웠던 진도 해상 교통 관제 센터는 이런 상황을 눈치채지 못했다고 전해드렸었죠. 이유와 문제점을 짚어보겠습니다.

윤영현 기자가 긴급점검했습니다.

<기자>

세월호 침몰지점과 가장 가까웠던 진도 관제센터는 제주 관제센터와 해경을 거쳐 구조 요청이 올 때까지 긴급상황을 전혀 몰랐습니다.

[진도 관제센터 관계자 : 항해하는 선박을 계속 모니터링 할 수는 없는 거 아닙니까.]

모니터링이 철저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관제센터의 근무체계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인천 해상관제센터를 찾아가 봤습니다.

하루 평균 교신량 400건에 관제 대상 선박도 170척인데, 직원 18명이 3조 2교대 근무체제입니다.

한 조사 결과 고된 근무 탓에 직원의 70%가량이 졸음과 권태감을 느껴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습니다.

[인천 해상관제센터 관계자 : 제일 문제는 인력 부족이죠. 18명이 24시간 365일을… 과연 적정 인원인가.]

외국과 비교하면 일본 동경 해상관제센터의 경우 물동량은 비슷한데 관제 인력이 우리보다 30명이 많고 4조 2교대로 일합니다.

이와 함께 국내 관제센터 17곳 가운데 15곳은 해수부가, 2곳은 해경이 관리하다 보니 대형 사고 때 총괄 주체가 애매해지는 단점도 있습니다.

[김수엽/해양수산개발원 실장 : (중앙관제를 하게 되면) 해상의 움직임, 사고 위험 높이는 선박에 대해 이중 점검을 하게 되니까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죠.]

또, 관제센터 한 곳의 관찰범위가 30km 정도이다 보니 사각지대가 많은 것도 문제입니다.

수 년간의 사고 데이터를 분석해 사고가 많은 지점에는 관제센터를 보다 촘촘히 설립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이재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