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년말 대부분 국가 인플레이션 2% 수준으로 정상화될 것"

"내년말 대부분 국가 인플레이션 2% 수준으로 정상화될 것"
내년 말이 되면 전 세계 대부분 국가의 물가상승률이 정상 수준인 2% 정도로 낮아질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경제학자들과 주요 금융기관 분석을 활용해 현지시간 24일 전망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과 유럽, 일부 신흥국의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이 11월 말까지 최근 3개월 동안 연 2.2%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수십 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라갔던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떨어진 것으로, '크리스마스의 기적'으로 불릴 정도입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에는 3년 만에 처음으로 이들 국가 인플레이션이 2%를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와 유럽중앙은행, 영국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모두 2%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 가계 구매력이 강화되고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경제 성장의 바탕이 됩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마이클 손더스 수석고문은 내년 4분기 인플레이션이 유럽에서는 1.3%, 영국에서는 2.7%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은 연방준비제도가 선호하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기준 2.2%로 전망했습니다.

영국중앙은행 통화정책위원회 위원 출신 손더스 고문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공통적 요인은 식량과 에너지, 글로벌 상품 가격의 하락과 통화 정책이지만 유로존에서 인플레이션이 더 빨리 둔화하는 건 미국과 영국이 그동안 탄탄한 노동시장의 압력을 받아왔는데, 이 압력이 천천히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주요국의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면서 내년에는 금리 인하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보입니다.

두타 팀장은 연준이 시장이 예상하는 6번의 금리 인하보다는 3~4번의 금리 인하를 택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하지만 연착륙하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경제는 꽤 괜찮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는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하락함에 따라 내년에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152건의 각국 중앙은행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BMO 캐피털 마켓 이코노믹스의 더글러스 포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주요국 대부분이 올해보다 내년에 더 느리게 성장하겠지만 금리 인하와 에너지 및 식량 가격 하락, 공급망 정상화가 글로벌 경기 침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