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초밥 먹기 전에 방사능 측정한다?…실제 효과 있을까

스프 뉴스스프링
최근 한 중국인이 일본 도쿄의 일식당을 방문했습니다. 초밥을 주문했는데, 먹기 전에 초밥에 뭘 자꾸 갖다 댑니다. 알고 보니,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였습니다.

중국인은 이 영상을 직접 촬영해 SNS에 올렸는데 큰 화제가 됐습니다. 일본 도쿄전력이 오염수에서 세슘을 제거하고 바다에 방류한다고 밝혔지만, 아무래도 불신이 남는 것이죠. 내가 먹는 초밥, 혹시 '방사능 초밥'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휴대용 측정기 구입으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왜 중요한데?

도쿄의 식당에서 초밥의 방사능을 측정한 중국인처럼, 우리나라에서도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에 대한 관심이 분명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방사능 측정기'를 검색하면 수십 종류의 측정기가 나옵니다. 제품 구입 후기도 다양합니다. 가격도 10만 원 이하의 비교적 저렴한 제품에서부터, 1백만 원을 넘는 고가의 측정기까지 다양합니다. 하지만, 비싼 측정기는 왜 비싼지, 저렴한 것은 왜 저렴한 것인지 소비자 입장에서는 알기 어렵습니다.

방사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측정기 구입을 고민하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저렴한 거라도 하나 살까? 기왕 살 거면 비싼 게 아무래도 더 좋지 않을까? 고민하는 것이죠. 지난달 일본이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뒤에는 대형 마트에서도 휴대용 측정기를 도입하기도 했고, 또 일부 수산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2백만 원이 넘는 측정기를 구입했다고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측정기를 대량 구입하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하지만,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를 통해 문제가 되는 수산물을 잡아 냈다는 소식은 지금까지 단 한 건도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유는 2가지입니다. 첫째는 식품 유통 기준치(100Bq/kg)를 초과하는 수산물이 시중에 유통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수입되는 수산물도 식약처의 방사능 검사를 거친 뒤에 국내 유통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가 더 중요합니다. 바로 휴대용 측정기 그 자체 때문입니다. 이런 측정기로는 수산물의 방사능을 측정하기가 역부족이기 때문이죠. 왜 그런지 좀 더 설명을 해 드리겠습니다. 

 

좀 더 설명하면


우리나라 식품의 방사능 유통 기준은 100Bq/kg입니다. 생선 1kg이 있을 때, 거기서 나오는 방사선이 1초당 100개를 넘어가면 안 된다는 뜻입니다. (1베크렐은 1초에 방사선이 1개 나온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도움을 받아 1초에 방사선이 100개 튀어나오는 100Bq 짜리 시료를 만들었습니다. 딱 1kg짜리 시료입니다. 이걸 생선으로 생각하면 되겠지요. 

이제 100Bq 시료에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를 대보면 어떻게 될까요? 저도 궁금했습니다. 그런데 수치가 도무지 움직일 생각을 안 합니다. 아무것도 없는 공기 중에서 쟀을 때 0.2μSv/h 정도가 나왔는데, 100Bq 시료에 대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0.2 정도에서 수치가 아주 조금씩 변했습니다. 사실 측정기에 뜨는 수치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움직입니다. 우주에서도, 땅속에서도 방사선이 오니까요. 측정기가 고장 난 걸까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준비해 주신 측정기인데, 그럴 리가 없지요. 다른 측정기로 해봐도 결과는 똑같았습니다.

스프 뉴스스프링 스프 뉴스스프링
자, 이번에는 식품 기준치의 100배인 10,000Bq 시료에 측정기를 대봤습니다. 사실 마트나 수산시장에서 이런 방사능 수준의 생선을 찾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10,000Bq/kg은 국내에서는 단 한 번도 나온 적 없는 높은 수치입니다. 2012년 후쿠시마 산천어에서 11,000 베크렐이 한 번 나온 적 있습니다.

측정기 수치가 어떻게 됐을까요. 0.2 안팎에서 0.3 정도로 올라갔습니다. 수치는 0.3μSv/h 안팎을 계속 오갔습니다. 올라가는 게 겨우 0.1이라고? 생각이 들 겁니다. 이 정도면 수산물 시장에서 측정기를 들고 다니는 상인이 미처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스프 뉴스스프링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