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계 이른' 저소득 자영업자, 금융지원에도 연체율이…

<앵커>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은 자영업자들이 대출을 갚지 못해서 한계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 자영업자들의 경우 각종 금융 지원에도 이미 연체율이 코로나 사태 이전 수준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송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한국은행 조사 결과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전체 자영업자의 전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사상 최대 수준인 1천19조 8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48.9%나 늘었습니다.

자영업 대출자 연체율도 지난해 3분기 0.19%에서 4분기 0.26%로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초기인 2020년 2분기 이후 2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연체율을 소득별로 나눠 보면, 소득 하위 30% 저소득 자영업자는 지난해 3분기보다 0.5% 포인트 증가한 1.2%를 기록했습니다.

3년 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소득 상위 30%인 고소득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0.7%로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중소득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1.3%로 1년 전과 같아졌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3년간 대출 증가 폭이 가장 큰 계층도 저소득 자영업자였습니다.

지난해 4분기 저소득층의 전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119조 9천억 원으로 2019년 4분기 대비 69.4%나 불었습니다.

중소득층은 64.7%, 고소득층은 42.4% 늘었습니다.

특히 저소득 자영업자의 경우 비은행 2금융권 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에 대한 대책으로 3년 넘게 원금과 이자 상환을 미뤘지만,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면서 금융지원 종료 이후 금융권의 자영업자발 건전성 위기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