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할리우드 작가들, 넷플릭스 맞서 총파업…미드 차질 불가피

할리우드 작가들, 넷플릭스 맞서 총파업…미드 차질 불가피
영상 스트리밍 시대에 걸맞은 보수체계 개편을 요구해 온 미국 작가단체가 결국 총파업을 강행하기로 했다고 AP·로이터 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작가조합(WGA)은 월트디즈니, 넷플릭스 등 할리우드 대형 스튜디오들과 진행해 온 임금인상 단체교섭이 아무런 소득 없이 최종 결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WGA 소속 조합원 1만 1천500명은 이르면 기존 협약이 종료되는 이튿날인 2일 낮 12시 1분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WGA 차원의 총파업은 2007년 말 이후 약 16년 만입니다.

당시 파업은 2008년 초까지 약 100일간 지속됐습니다.

이 단체는 웹사이트에 발표한 성명에서 "제작사들은 노동시장 내부에 '긱 이코노미'(gig economy·임시 계약직 위주의 인력 운용)를 만들었고, 이번 협상에서 한 발짝도 물러나지 않으며 작가 업무를 평가절하하지 않겠다던 약속을 배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대형 제작사들을 대표하는 영화·TV제작자연맹(AMPTP)은 "WGA와 합의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인상을 제안했다"고 반박했습니다.

AMPTP는 보상 규모를 더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WGA가 다른 조건들을 고집하는 탓에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면서도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WGA와 추가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측 간 최대 쟁점은 작가들의 수입을 보장하는 안전장치 마련 방안입니다.

WGA는 OTT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며 드라마·시트콤 등 시즌당 편수가 평균 20여 편에서 10편 남짓으로 줄어든 데다 작품 재판매 수익을 지급하는 재상영분배금(residual) 역시 감소했지만, 업무량은 오히려 늘어나며 작가들의 어려움이 커졌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WGA는 스튜디오 측의 필요에 관계없이 일정한 기간을 정해 작가 고용 규모를 유지하며 프로그램을 제작·진행해야만 한다고 요구해 왔지만, AMPTP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더 투나잇 쇼 스타링 지미 팰런'(팰런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 등 심야 인기 토크쇼의 제작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일부 드라마들의 방영도 중단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망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