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 3년, 2030세대 빚 제일 많이 증가…연체율 비상

<앵커>

코로나 기간 동안 은행 문 두드린 분들 많으실 텐데요. 그중에서도 20·30대 청년층의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요즘 가뜩이나 금리도 높고 물가도 비싼데, 빚을 못 갚고 있는 청년층의 신용에 비상이 걸렸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조기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은행에서 대출받은 사람은 1천490만 명, 국민 10명 중 3명꼴입니다.

대출 잔액은 902조 2천억 원에 이릅니다.

코로나 사태가 터지기 전인 2019년 말과 비교해 대출받은 사람이 17.3%, 대출 잔액은 17.7% 각각 늘었습니다.

그런데 대출 잔액 증가세가 유독 더 높은 연령층이 있습니다.

바로 20·30대 청년층인데 은행권과 비은행권 대출 잔액이 514조 5천억 원으로 2019년 말과 비교해 27.4%나 늘었습니다.

다른 나이대와 비교해도 증가세가 눈에 띕니다.

청년층의 대출 이유는 전월세 보증금같이 주거 관련이 85%를 차지했습니다.

[김미루/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 : 20·30대 청년층은 새롭게 가구를 만들고 독립을 하면서 주거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데 주택 보유 비율 자체는 굉장히 낮습니다. 코로나19 시기에 전세 가격이 빠르게 상승했고, 그로 인해 전세자금 대출이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1인당 평균 대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나이대도 20·30대 청년층이었습니다.

지난 3년 사이 1인당 대출 잔액 증가율은 18.4%로 40대 10.4%와 50대 3.5%, 60대 2.1%에 비해 확연히 높습니다.

높은 금리와 물가 속에서 경제적 기반이 약한 청년층을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최근 중장년층과 비교해 청년층의 은행 연체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기존 대출을 장기 분할 상환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당국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편집 : 신세은, CG : 최하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