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러, 격전지 바흐무트 포위 시도…우크라이나 병력 증강

러, 격전지 바흐무트 포위 시도…우크라이나 병력 증강
우크라이나 동부 요충지 바흐무트를 러시아군이 포위하려고 시도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가 지원군을 추가로 보내면서 전투가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까지 러시아군은 바흐무트의 북쪽과 남쪽에서 압박을 가하고 있지만, 포위망을 완성하지 못했습니다.

로이터는 자사 기자가 지난달 27일 서쪽 경로를 통해 우크라이나 쪽으로부터 바흐무트 시내로 들어갈 수 있었다며 이렇게 전했습니다.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침공이 시작되기 전 바흐무트 인구는 7만 명이었지만, 지금은 수천 명만 남아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측은 바흐무트를 방어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지원군을 증파하는 등 항전 의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제28기계여단장 유리이 마댜르 대령은 텔레그램 영상 메시지에서 "바흐무트는 견뎌내고 있다"면서도 이 도시를 지키기 위한 대가가 커지면서 계속 지키기가 점점 힘겨워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육군본부가 올린 텔레그램 영상에서 한 제93여단 소속 장병은 "러시아군이 조금 잠잠해졌다. 바흐무트 외곽에서는 총격전이 벌어지고 있다"며 "때때로 폭발이 일어나고 포탄이 날아오지만 바흐무트를 지키고 있다. 아직까지 아무도 철수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영상 연설에서 "우리는 각 방면 전선을 통제하에 유지하고 있다"면서 러시아군이 전선 지역 도시들에 포격을 지속적으로 퍼부어 "모든 것을 파괴"하고 "고의적 테러"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는 "겨울은 이제 지나갔다"며 "정말 어려운 시기였고 모든 우크라이나인들이 고난을 겪었다. 하지만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에너지와 난방을 공급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연설에서는 바흐무트의 상황이 여전히 가장 어렵다며 "전투의 강도가 계속 거세지고 있다. 우리 국토를 해방하기 위한 작전을 위해 우리 전사들이 귀환하도록 준비 중"이라며 반격 작전 계획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는 1일 오후 6시 기준 전황 업데이트에서 "적군이 계속 진격하고 있다. 바흐무트 시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통령 경제분야 고문인 올렉산드르 로드냔스키 영국 케임브리지대 조교수는 CNN에 출연해 만약 필요해질 경우 바흐무트에서 철수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원론적 수준의 발언을 했습니다.

그는 러시아가 용병집단 와그너 그룹의 정예부대를 앞세워 바흐무트를 포위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철수가 필요한지 여부는 군이 판단할 문제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바흐무트 서부 지역은 요새화돼 있기 때문에 설령 우크라이나군이 바흐무트에서 철수하더라도 러시아가 그 후에 매우 빨리 진격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수개월간 전선 대부분은 교착 상태이며, 러시아가 최근 진격에 성과를 거둔 사실상 유일한 지역이 바흐무트 근방입니다.

러시아 측은 요충지인 바흐무트를 점령하면 이 주변 돈바스 공업지역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측은 바흐무트 자체의 전략적 가치는 제한적이라면서도 바흐무트 공방전에서 양측의 전력 소모가 매우 커 앞으로 전쟁의 향배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