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대한민국! 뭐가 떠오르십니까?…대수술 들어간 정부 상징 체계

● 현란한, 그러나 알 수 없는 대한민국 정부 부처의 상징들

전쟁의 잿더미에서 세계적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로 우리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축약해서 말하곤 합니다. 하지만 정작 대한민국하면 머릿속에 그려지는 이미지나 상징은 딱히 떠오르지 않습니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정부 부처의 심벌마크를 보면 왜 그런 지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입법, 사법, 행정 등 3부를 대표하는 문양의 기본 배경은 무궁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으로 알려진 무궁화는 숱한 외침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민초들의 꺾이지 않는 생명력과 애환을 담은 민족의 상징이 되었고, 지금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화이자, 정부 상징체계의 기본으로 자연스레 자리 잡아 왔습니다. 

하지만 정부 부처의 상징 문양을 들여다보니 상황이 심각합니다.

정부조직도
현란합니다. 혹시 이 가운데 평소에 알고 있던 정부 부처의 상징 문양이 하나라도 있으신지요? 만약 한글 표기가 없다면 이게 대한민국 정부 조직인지, 아니면 무슨 민간단체인지 아니면 사기업인지 도저히 구분할 재간이 없습니다. 국민과 국가를 대표하는 정부 부처의 상징인데도 어떤 기준이나 원칙도 없이 정부가 바뀔 때마다 관료들의 취향대로 춤을 춰 온 것이죠. 위의 표 가운데 국토 교통부는 이명박 정부시절 국토해양부에서 이름과 조직이 바뀌었지만 상징 문양은 예전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토를 뜻하는 초록색과 바다를 뜻하는 파랑색을 섞어 놓고는 엉뚱하게 국토 교통부라는 이름만 갖다 붙인 것입니다. 이쯤 되면 이건 정부 상징이 아니라 그 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조차 알 도리가 없는 무의미한 그림의 조합인 셈입니다.

● 단순한, 그러나 분명하고 뚜렷하게 각인되는 선진국의 상징 체계
선진국 정부 상징
우리가 디자인 선진국이라고 일컫는 나라들은 어떤지 보겠습니다. <네덜란드> <캐나다> <독일>의 정부 상징 문양들입니다. 왕실의 문장이나 국기, 혹은 국가의 상징 동물 등으로 단일한 이미지 아래 각 정부부처를 명기하고 있습니다. 상징 문양만 봐도 이 기구가 어느 나라의 정부 기구임을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이 나라들도 각 정부부처의 기능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기능과 업무에 맞는 상징 문양을 쓸 수도 있지만, 이렇게 통일성을 기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선진국 정부 상징
단순히 보기 좋은 게 아니라 언제 어디서 누가 봐도 믿을 수 있는 정부 조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것, 그리고 단일한 대외 이미지를 구축해 갈수록 중요해 지는 국가 브랜드의 위상을 높이는 것처럼 말이죠. 어떠신가요? 비교적 최근인 지난 2007~2008년에 국가 상징 체계를 개편한 네덜란드를 제외한다면 캐나다나 독일 정부의 상징문양은 전 세계 어디서 봐도 그 나라를 상징한다는 걸 그리 어렵지 않게 알아차릴 수 있지 않으신가요?
선진국 정부 상징
대수술 시작…무엇을 어떻게 바꾸나?

위에서 보신 것 처럼 정부부처를 상징하는 이미지가 중구난방이다 보니 해외에서 대한민국하면 떠오르는 게 뭐냐고 물어보면 요즘은 가장 많이 돌아오는 대답이 “삼성” “현대” “LG”같은 기업 브랜드들입니다. 국가의 정통성과 상징성이 민간 기업들의 이미지로 대체돼버리는 상황이 일반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최근 자체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3.5%가 정부 부처 22개의 상징물 가운데 아는 상징이 전혀 없다고 밝혔고, 22개 부처 상징 가운데 평균적으로 알고 있는 상징물의 수는 불과 0.52개였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없는 것만 못한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 같습니다.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 정부도 이런 상징 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달부터 어떤 소재를 상징물로 할 것인가를 정하고 10월에 최종 안을 선정해 내년 3월부터 새롭게 통일된 정부 상징 문양을 각 부처에 적용해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작게는 신분증과 안내판, 깃발, 그게는 건물 현판과 표지만, 정부 문서 서식까지 새롭게 도안된 통합 상징 문양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림으로 보면 이렇습니다. 
정부상징정비 전후
 
물론 아직 상징 문양이 무궁화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상징 문양이 정해지면 개별부처에서는 단일한 상징문양 아래 각 부처의 이름 등을 표기해 통일성을 기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문양을 정해질 지가 가장 큰 관심거리인데, 지금까지의 분위기로는 국민적으로 인식과 애착이 뿌리깊은 ‘무궁화’와 ‘태극’ 문양을 벗어나기가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국민들에 친근감 있어야 하고 한 눈에 우리 정부를 상징한다는 정서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지금까지 다른 정부에서도 국가 브랜드 위원회 같은 조직을 통해 비슷한 시도가 있어 왔지만 부처간 이견과 국민적 무관심 속에 이런 정부 통합 상징체계 정비는 대부분 용두사미가 돼 버리고 말았습니다. 이번 논의 과정에서도 과거와 비슷한 부처 간 이견에다 ‘먹고 살기도 바쁜 데 무슨 봉창 두드리는 소리냐’는 비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을 비롯한 세계 유수의 기업들은 자기만의 디자인과 상징체계로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생태계를 구축해 어마어마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고, 국가 이미지 자체도 교역과 관광에서 무시할 수 없는 중요 변수가 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언젠가는 한 번 손을 봐도 봐야할 일이라는 게 중론인 듯합니다. 더구나 시각디자인 전문가이자 디자인 학회장 출신인 김종덕 문체부 장관의 전문분야인 만큼 거창하게 시작했다 흐지부지됐던 과거의 실패를 거울삼아 수 십 년이 흐른 뒤에도 어디서라도 그 문양을 보고 대한민국을 떠올릴만한 제대로 된 물건을 만들어 내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