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빈곤층' 외국인 근로자, 생활고·편견에 시달려

<앵커>

저출산 고령화로 2017년부터는 생산 가능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모자라는 자리는 외국인들로 메울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지난 90년 5만 명에 불과했던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가정 인구가  올해 140만 명까지 급증했습니다. 대부분 저임금 3D 업종에서 편견과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송인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이 중소 업체는 직원 16명 중 9명이 외국인 근로자입니다.

이른바 3D 업종에서 일하려는 한국인 근로자들을 찾지 못해섭니다.

[전정자/자동차부품 제조 업체 관계자 : 저희 같은 제조업에서는 프레스업종 이런 데는 힘드니까 거의 근무를 하려고 하지 않아요, 내국인들은.]

중소기업이나 식당같은 곳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58만여 명.

대부분 단순 기능직들이어서 워낙 적게 버는데다 버는대로 다 고국에 송금하다 보니 생활은 궁핍할 수 밖에 없습니다.

[레이만 압둘/외국인 근로자, 파키스탄 : 돈 한 달에 얼마나 부쳐줘요? (170만 원 벌어서) 150만 원 부쳐요.]

임금이나 퇴직금을 제대로 못 받고 무료 숙소 신세를 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미나팍 에드가/임금체불 외국인 근로자, 필리핀 : 4월 23일에 비자 만기로 고향에 가야 하는데, 3월 월급이 안 나왔어요.]

한국 남자와 결혼해 가정을 이룬 이주 여성들도 생활고에 시달리긴 마찬가지입니다.

38%는 월평균 소득이 100만 원에서 200만 원에 불과하고, 100만 원 미만 가구도 21%나 됩니다.

[필리핀 이주 여성 : 작년에 아빠 허리가 많이 다쳤어요. 그래서 나 혼자 작년부터 벌어요, 지금까지. 월급 70만 원 받아요.]

문제는 이런 빈곤이 대물림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최  홍/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잠재적 취약계층화가 되면서 일종의 일탈세력화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를 따져보면 30조 원을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엄연히 우리 사회를 움직이는 한 축이 된 이들이 신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외국인 근로자들의 안정적 고용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사회 안전망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이승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