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조개 캐다 차오른 물에 '갯벌 고립' 속출…생존 요령은

<앵커>

며칠 전 갯벌에서 조개를 캐던 50대 여성이 밀물에 고립됐다가 겨우 구조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지난해 12명이 이런 사고로 목숨을 잃었었는데, 최근 들어서 또 이런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김진우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흘 전 인천 무의도 앞바다.

[10시 방향! 왼쪽에 불빛 발견!]

썰물에 갯벌에 들어가 조개 등을 캐다 밀물 들어오는 때를 놓쳐 고립된 50대 여성 관광객이 해경에 구조됩니다.

당시 바닷물은 여성의 목까지 차올랐습니다.

[요구조자 구조정 탑승 완료!]

지난 2월 전남 고흥에서는 갯벌 조업에 나섰던 60대 여성이 실종됐다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지난해 갯벌 사고로 숨진 사람만 12명, 매년 10명 정도가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사고가 났던 갯벌을 해경과 함께 찾아가 봤습니다.

어둠 속 사람들이 머리에 쓴 플래시 불빛이 곳곳에서 보입니다.

[잠시 후 간조시각이 지나 물이 빠르게 들어오니….]

갯벌에 있던 사람들 대부분은 언제 나와야 하는지 모릅니다.

[갯벌 관광객 A : 간조시간하고 30분 후부터 물 차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갯벌 관광객 B : (물 좀 차기 시작하는 거 알고 계셨어요?) 아니 몰라. 이만큼 해서 물 찬 것은 몰라요.]

물이 가장 많이 빠진 간조가 지나자마자 밀물이 시작되는데, 시속이 7~10km, 성인 걸음보다 2~3배 빠른 속도입니다.

[김재현/인천해경 하늘바다파출소 경장 : 12시가 간조시간이면 12시부터 물이 들어오는 시간인데 간조시간 30분 전에는 다시 해변가로 이탈하시는 게 가장 안전한 (해루질입니다.)]

갯벌에서는 발이 푹푹 빠져 가까운 거리도 빨리 이동하기 어렵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밀물에 고립됐을 때는 물이 빠지지 않는 가슴장화로 튜브를 만들어 끌어안고 버티는 게 생존 요령입니다.

GPS 기반 위치 안내 앱 해로드를 휴대전화에 설치하면 사고 시 구조대에 정확한 위치를 알릴 수 있어 도움이 됩니다.

(영상취재 : 최준식·강시우, 영상편집 : 조무환, 화면제공 : 인천해양경찰청·여수해양경찰청)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