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상전 속 민간인 보호…"휴전 정답 아냐" 미국의 딜레마

<앵커>

미국은 민간인 보호가 최우선이라는 걸 강조하면서도, 지금 당장 휴전하는 건 반대라고 했습니다. 지상전은 하면서 희생은 줄이는 게 미국의 바람인데, 이런 생각은 국제사회에서 큰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미국 워싱턴에서 김용태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

<기자>

이스라엘이 지상전을 시작했지만 미국은 여전히 휴전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존 커비/미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 : 지금은 휴전이 정답이 아니라고 봅니다. 당장 휴전하는 건 하마스를 이롭게 합니다.]

하지만 인도주의 구호를 위한 전쟁 일시 중단은 또 검토해 볼만 하다고 했습니다.

[존 커비/미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 : 특정한 계층을 지원하거나 탈출에 도움이 되는 '일시적이고 국지적인 중단'은 검토할 수 있습니다.]

휴전은 안 되지만 잠시 중단은 가능하다는 다소 애매한 메시지에는 미국의 고민이 묻어 있습니다.

지상전을 사실상 용인하면서 민간인 희생은 줄이는, 양립하기 어려운 조건을 충족시키려 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동시에 가자지구 구호물자 공급을 계속 늘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무고한 민간인 보호에 신경 쓰고 있다는 걸 강조한 겁니다.

하지만 미국의 이런 움직임이 국제사회 대다수의 지지를 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 27일 긴급 유엔총회에서는 즉각 휴전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미국의 반대에도 찬성 120표로 가결됐습니다.

이어 지난 밤사이 긴급 소집된 유엔 안보리에서도 휴전 결의안이 논의됐는데,

[자키 누세이베/UAE 유엔대사 (소집 요청국) : 전 세계의 압도적 다수인 121개국이 가자지구에 인도주의적 휴전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하마스 규탄'이 빠졌다는 이유로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반대하면서 결국 가결되지 못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이 국제여론에 뒤처져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최근 민주당 진영에서도 '이스라엘 편들기'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는 점은 바이든 행정부의 발걸음을 무겁게 만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정식, 영상편집 : 박은하)

▶ "더 못 버틴다" 아이들 굶주리자 약탈…문 닫는 구호센터
▶ "휴전 없다" 이스라엘, 지상전 강행…하마스는 인질 공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