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F 대출 연장' 조건으로 사업권 사냥까지…대책 차질 우려

<앵커>

건설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부동산 PF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는데요. 일부 현장에서는 대출을 연장해 주는 대가로 사업권을 가로채는 업체까지 등장했습니다.

보도에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한 부동산 시행사가 1천230세대 규모 아파트 민간 개발을 진행 중인 현장입니다.

토지 매입 잔금 등 1천240억 원을 지난해 '브리지론' 형식으로 빌렸는데, 본 PF로 전환되지 못하고 지난 7월 대출 만기를 맞았습니다.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대주단 협약에 따라 대주단 22곳 가운데 21곳은 만기 연장에 동의해 줬는데, 150억 원을 빌려준 한 업체만 이를 거부했습니다.

[경기 남양주시 부동산 개발업자 : 자기네들은 금융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금융기관 조건에 맞춰서 연장을 못 하겠다….]

이 업체는 대신 반년 내 원금 20% 상환 등 새 조건을 붙이고, 어기면 사업권을 양도하라는 제안을 했습니다.

[경기 남양주시 부동산 개발업자 : 개발 사업 쪽에 약 28년 정도 경력이 있는데 처음 겪어보는 사항이어서 굉장히 좀 당혹스럽죠.]

해당 업체는 지난 6월 울산의 다른 개발 현장에서도 50억 원 대출 연장을 해주고 못 갚으면, 사업권을 뺏는 계약을 맺었습니다.

[울산 부동산 개발업자 : 용역사들이 같이 동시 부도가 납니다. 어떻게라도 저희는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목숨이라도 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업체 측은 현장에 사업성이 없어 권리를 행사했다는 입장입니다.

금융당국이 파악한 전국 3천700여 개발 사업장의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130조 원.

이 가운데 20% 정도가 브리지론 대출인데, 전국에서 유사한 사례와 분쟁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유의동/국회 정무위원 (국민의힘) : 순간의 위기 상황 속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참여자들이 있기 때문에 정부 당국의 대책이 잘 먹혀들지 않는 실정입니다.]

정부가 최근 내놓은 PF 사업장 정상화와 주택공급 대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 영상편집 : 유미라, CG : 강경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