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440억 들인 '광화시대'…시민 외면 속 일부는 문 닫았다

<앵커>

서울 광화문 일대에는 문화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있습니다. 이것을 만들고 운용하는 데 400억 원 넘는 예산이 들어갔지만, 이것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고, 그렇다 보니 이미 문을 닫은 것도 있습니다.

안희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순신 장군 동상 옆으로 판옥선이 나타나고, 디지털 아이콘이 광화문 광장을 뒤덮습니다.

5G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들을 전시하고 체험하는 이른바 '광화시대' 프로젝트입니다.

역사와 문화, 관광 중심지인 광화문 일대를 증강현실과 홀로그램 등을 활용한 실감콘텐츠 전시장으로 만들어 한국의 기술과 문화를 알리겠다는 목표로 문재인 정부 후반에 추진됐습니다.

2021년 말부터 8가지 콘텐츠가 차례로 문을 열었는데, 대형 스크린 87억 원 등 2020년부터 440억 원 넘는 사업비가 집행됐습니다.

실적은 어떨까.

37억 원이 들어간 증강현실 게임 '광화담' 이용객은 하루 평균 15명 수준이었다가 아홉 달 만에 문을 닫았고, 20억 원짜리 콘텐츠 '광화경'은 운영 한 달 관람객이 104명에 그쳤습니다.

[유광희/관람객 : 전혀 몰랐어요. 우연히 여기 이렇게 알게 돼서, 아직 홍보는 안 돼 있는 것 같은데….]

야외 체험기구는 안전 문제가 드러나 여덟 달 가까이 문을 닫았다가 세종문화회관 지하 더부살이 신세가 됐습니다.

[문체부 관계자 : 봄철이 되면 이렇게 바람 같은 것에 좀 영향을 받으면 위험하다는 진단이 나왔나 봐요. 어쩔 수 없이….]

결국 정부는 지난 3월 '광화시대' 간판을 내렸고, 콘텐츠도 3가지로 축소했습니다.

[배현진/국회 문화체육위 위원 (국민의힘) : (문재인 정부는) 청와대를 국민 품에 돌려 드리겠다는 약속, 그리고 이어서 했던 '광화시대' 개막에 대한 약속, 이조차 모두 지키지 못했고, 결국 수백억 원의 예산을 낭비한 채 피해는 국민의 몫으로 돌아갔습니다.]

문체부는 시민 이용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 위주로 예산을 효율 집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이찬수, 영상편집 : 위원양, CG : 최재영·조수인, 화면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