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적대행위자 파괴"…미, 북·중에 '사이버 선전포고'

<앵커>

미국이 해킹 같은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안보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북한과 중국을 비롯한 몇몇 나라를 주요 위협국으로 꼽으면서 적대행위자를 파괴, 해체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사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남승모 특파원입니다.

<기자>

주유소에서 운전자들이 먼저 기름을 넣겠다며 난투극을 벌입니다.

지난 2021년 5월, 해킹 조직의 랜섬웨어 공격으로 송유관 운영이 중단되면서 생긴 일입니다.

며칠 뒤엔 세계 최대 정육업체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미국 내 공장 운영이 중단됐습니다.

이런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 백악관이 군사적 수단까지 포함하는 사이버 안보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존 커비/미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을 통해 집단 안보와 체계적 회복력을 강화함으로써 (미국의) 이런 사회·경제적 투자들을 지켜나갈 것입니다.]

주요 사이버 위협국으로는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이란을 지목했습니다.

중국은 최대 전략적 경쟁자로 민간과 정부 모든 영역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적극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에 대해서는 암호화폐 절도와 랜섬웨어 공격 등을 통해 핵개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과 연계된 해커 조직들이 훔친 암호화폐가 지난해에만 1조 2천억 원이 넘는다는 유엔 보고서도 나왔습니다.

백악관은 적대적 사이버 행위자들을 파괴하고 해체하겠다며 필요시 해킹을 통한 선제 타격 의사도 밝혔습니다.

실제 지난 1월에는 랜섬웨어 조직 '하이브'를 해체시켰습니다.

[리사 모나코/ 미 법무 차관 (지난 1월) : 간단히 말해 합법적 수단을 사용해서 해커들을 해킹했습니다. '하이브'에게 보복하고 그들의 사업 모델을 파괴했습니다.]

미국의 이번 발표는 북한과 중국 등을 상대로 한 사이버상의 선전포고나 다름없다는 평가입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전민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