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독도 바닷속 10년 새 아열대 어종이 '접수'

<앵커>

독도 주변의 바다에선 최근 자리돔이란 물고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자리돔은 원래 제주도 주변에 살던 물고기입니다. 그만큼 독도 주변의 바닷물이 따뜻해졌단 뜻입니다.

박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제주 특산물로 아열대 어종인 자리돔은 이제 독도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곳곳에 산란장이 있고, 어린 자리돔의 군무도 쉽게 관찰됩니다.

화려한 자태의 용치놀래기와 파랑돔, 세줄가는 돔 같은 아열대 물고기가 독도 바다의 대표 어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만 난류가 지나는 독도 바다가 유독 빠르게 따뜻해진 결과입니다.

동해 전체가 지난 46년에 걸쳐 섭씨 1.3도가 따뜻해진 데 반해, 독도의 표층 수온은 최근 10년 새 1.5도나 올랐습니다.

육상에서 5에서 10도의 변화와 맞먹는 수준입니다.

[명정구 박사/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제주도 주변에 있는 80% 이상이 아열대, 열대입니다. 이미. 독도는 저희가 조사해 보니까 약 현재 50~60% 됩니다.]

또 10년 전에 관찰됐던 갯녹음, 즉 바다 사막화 현상은 완화되고, 대신 대황과 감태 같은 토종 해조류가 다시 늘어났습니다.

독도 바닷속에는 현재 230종이 넘는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최완현/해양수산부 국제원양정책관 : 무성한 해조류는 표청성 소형 어류의 산란장과 어린 고기의 은신처 역할뿐만이 아니라….]

해양수산부는 지난 10년간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독립문 바위 등 독도 5곳의 생태지도를 만들어 공개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