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화해도 받지도 않는 '국방 헬프콜'…유명무실

<앵커>

제 역할을 못하는 게 또 있습니다. 군내 가혹행위를 예방하겠다면서 국방부가 지난해 8월에 시작한 '국방 헬프콜'이라는 전화가 있습니다. 전국 어디서든 24시간, 익명성이 보장되는 전화나 인터넷으로 장병들이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에게 고충 상담을 받게 한다는 건데, 거의 유명무실입니다.

장선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방부는 지난해 8월 군 고충 상담전화인 '국군생명의 전화'를 국방 헬프콜로 확대 개편했습니다.

숨진 윤 일병이 복무한 28사단에도 헬프콜 홍보물이 붙어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통화는 쉽지 않습니다.

28사단을 방문한 국회 국방위원들이 직접 걸어봤지만, 통화가 되지 않았습니다.

[황진하/국회 국방위원장 : 여보세요! 여보세요?]

[송영근/새누리당 의원 : 국방부에 신고전화가 딱 2대로 전군 것을 받으려다 보니까 그런 현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더라.]

전국의 군 장병을 상대하는 헬프콜 전화 상담회선은 2대, 전문 상담원 3명이 주·야간에 번갈아 가며 근무하는 실정입니다.

게다가 피해 사병은 선임병들 눈을 피해 전화해야 하는데, 과금체계가 정리되지 않아 공중전화로는 헬프콜과 통화를 할 수 없습니다.

결국, 부대 내 일반 전화로 걸어야 한다는 이야기인데, 전화하지 말라는 얘기나 다름없습니다.

[김강산/군 전역자 : 익명성도 보장이 잘 안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신고를 하면 일이 커지는 걸 막으려고 보통은 이게 알려지는 거를 원치 않으니까.]

GOP 총기 사건을 벌인 임 병장과 윤 일병 역시 가혹행위를 당했지만, 헬프콜에 신고한 적은 없습니다.

[오창익/인권연대 사무국장 : 누구나 자기가 당한 피해를 실시간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신뢰받는 구제기관을 만들어내는 것, 그것이 급선무라고 봅니다.]

가혹행위 알렸다가 보복당할까 두려워 하는 현실을 고려해 군내 신고체계의 대대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주용진,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